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에너지공기업 4년새 빚 23조 늘 때 '억대 연봉자'는 65.5% 증가

완전자본잠식 상태 빠진 석유공사, 억대 연봉자는 4년새 15%p 증가
연도별 인건비 지출액도 늘어…경영 효율화 작업 필요성 제기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2021-09-26 06:02 송고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주요 에너지공기업들의 부채가 매년 늘어나며 경영상황이 악화되는 가운데, 오히려 억대 연봉을 받는 직원들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26일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양금희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발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 등 산업부 산하 9개 에너지공기업들에게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억원 이상 연봉을 받는 임직원은 8704명이었다.

이는 지난 2016년(5259명)을 기준으로 볼 때, 4년만에 무려 65.5%(3445명)나 늘어난 수치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에너지공기업들의 영업이익은 감소하고, 부채 규모가 증가하는 등 재무구조는 악화됐다. 9개 공기업들의 부채는 2016년 153조4974억원에서 지난해 177조2895억원으로 4년새 15.5%(23조7921억원)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전체 임직원 수 대비 억대 연봉자 비율이 가장 높은 발전공기업은 중부발전이었다. 중부발전은 총 임직원 2610명 가운데 35.4%(926명)가 억대 연봉을 받았다.

이어 남부발전 34%(2435명 중 833명), 동서발전 32.73%(2465명 중 807명), 서부발전 26%(2763명 중 718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임직원 수 대비 억대 연봉자 비율이 가장 낮은 발전공기업은 한국전력으로 7.82%(2만3415명 중 1830명) 이었다.

4년전인 2016년에 비해 억대 연봉자의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발전공기업은 15%p(207명↑)이 늘어난 한국석유공사였다.

특히 한국석유공사는 지난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고, 부채비율이 2016년 528.90%에서 2019년 3415.50%까지 급증하는 등 경영악화 상황에서도 지난 4년간 에너지공기업 중 전체 직원수 대비 억대 연봉자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부채비율은 대차대조표의 부채총액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경영분석에서 기업의 건전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석유공사 뒤로는 가스공사가 2016년 대비 9%p(537명↑), 남동발전 7.5%p(264명↑), 남부발전 7%p(288명↑), 중부발전 6.9%p(168명↑), 동서발전 4.65%p(151명↑), 한전 4.06%p(1045명↑), 한수원 3.76%p(576명↑) 순이었다. 서부발전은 2016년 대비 직원수가 늘어나면서 억대 연봉자의 비중이 1%p 감소했다.

전체 직원수 대비 억대 연봉자 비중이 4년 전에 비해 평균 6.43%p 늘어난 가운데 에너지공기업들의 부채도 꾸준히 증가했다. 중부발전은 2020년 부채가 9조6265억원으로 2016년(5조7014억원) 대비 68.8%(3조9251억원)나 늘어났고, 한국전력은 부채가 49조8544억원→59조7720억원19.9%(9조9176억원)으로 증가했다.

한수원도 2016년 부채 27조5779억원→2020년 36조784억원으로 30.8%(8조5005억원) 늘었다.

연도별 인건비 지출액도 매년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지난해 부채가 6조6048억원에 달하는 남동발전은 2016년 1857억원9300만원→2020년 2272억원6600만원으로 414억원7300만원이 늘어났다.

같은 기간 남부발전은 498억9200만원, 동서발전은 280억6500만원, 서부발전은 362억5800만원, 중부발전은 297억4600만원, 한수원은 887억4500만원, 한전은 2026억원8300만원, 가스공사는 622억5500만원, 석유공사는 216억5800만원이 늘어났다.

양금희 의원은 "공기업 손실은 결국 국민 세금으로 메울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부는 잘못된 탈원전 정책을 멈추고, 발전공기업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경영 효율화 작업에 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freshness410@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