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사이버 폭력' 어른들 알 때면 늦어…"조사방식 재접근 필요"

코로나 이후 학폭 중 비중 늘어…작년보다는 감소
"학교만으로 한계…가정·사회·정부 대응력 높여야"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2021-09-08 05:20 송고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학교폭력에서 사이버폭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다시 늘면서 전문가 사이에서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8일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전체 8개 유형 가운데 '사이버폭력'이 차지하는 비율은 9.8%로 전년도 12.3%보다 2.5%p 감소했다.

지난해 감염병 확산으로 온라인 수업이 확대되면서 사이버폭력 비율이 대폭 늘어난 기저효과로 올해 수치가 줄었다.

코로나19 이전인 지난 2019년 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사이버폭력 비율은 8.9%에서 올해 9.8%로 0.9%p 증가했다.

지난 2013년 이후를 놓고 보면 2018년(10.8%)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서울도 사이버폭력 비율이 지난해 11.7%에서 올해 9.9%로 1.8%p 줄었지만 2019년 8.6%보다는 1.3%p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학생 1000명당 사이버폭력 경험 응답 건수 자체는 지난 2018년 이후 계속 줄었다. 다만 교육계에서는 피해유형은 중복응답이 가능해 학생들이 사이버상으로 학교폭력을 겪더라도 '언어폭력'이나 '집단따돌림' 등으로 체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김동석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교권복지본부장은 "온라인 수업 확대 여부를 떠나 온라인 환경 노출 빈도가 높아지고 모바일 기기 사용이 증가해 사이버폭력 고착화와 확장세는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은 사이버폭력을 '정보통신 기기나 온라인 사이버 공간을 매개로 이뤄지는 모든 유형의 폭력을 의미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메신저 단체채팅방에 피해학생을 초대한 뒤 집단으로 욕설을 퍼붓는 '카톡감옥' 등이 대표적 사례다. '와이파이셔틀'이나 게임머니를 갈취하는 등 사이버 갈취 형태로도 사이버폭력이 발생한다.

사이버폭력은 은밀하게 이뤄져 조기에 발견이 어렵고 학교 밖으로까지 괴롭힘이 이어지는 등 시·공간적 제한이 없어 파급력이 크다.

박정현 인천 만수북중 교사는 "사이버폭력은 어른들이 인식하는 수위까지 갔을 때는 이미 되돌리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가 많다"면서 "교육당국에서 사이버폭력 조사 관련 설문지를 다시 디자인하는 등 재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학교폭력 전문가들은 학교 밖에서 사이버폭력이 발생할 경우 학교가 현재 지닌 권한만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국가 수준의 전문적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본부장은 "학교 밖에서 일어나면 학교에서 피해학생을 보호해줄 수 없는 부분이 있다"며 "사이버폭력은 학교뿐 아니라 가정·사회·정부에서도 대응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사이버폭력이 지속해서 늘어날 우려가 있는 만큼 사안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최근 사이버폭력 실무대책협의회가 열려서 2학기에 중점 대응사항을 추진하기로 했다"면서 "사이버폭력 개선을 위한 홍보도 강화하고 범부처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kingkong@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