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통일부 겨냥 사이버공격 시도 5년간 2626건…"피해사례 없어"

2018년부터 취약점 파악 위한 '시스템 정보 수집' 늘어

(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 | 2021-07-08 09:08 송고 | 2021-07-08 09:09 최종수정
(통일부 제공) © 뉴스1
(통일부 제공) © 뉴스1

통일부를 겨냥한 사이버공격 시도가 지난 2018년부터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일부는 이 같은 공격 시도에 따른 "피해사례는 없다"고 밝히고 있다.
7일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 2016~20년 5년 간 통일부에 대한 사이버공격 시도는 모두 2626건 포착됐다. 2016년 260건, 2017년 336건이었던 사이버공격 시도는 2018년 630건으로 2배 가까이 늘었고, 2019년 767건, 그리고 작년엔 633건을 기록했다.

5년 기간 포착된 사이버공격 시도를 유형별로 보면 '해킹메일'이 112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스템 정보수집 1072건 △유해 인터넷주소(IP) 접속 257건 △악성코드 탐지 112건 △웹 해킹 시도 65건의 순이었다.

특히 2017년까지만 해도 '해킹메일'이 전체 공격 시도 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던 반면, 2018년 이후부턴 '시스템 정보수집'이 전체의 40%~50% 수준으로 크게 늘었다.

통일부는 "'시스템 정보수집'은 향후 공격을 위해 시스템의 취약점을 파악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공격으로 간주하고 있다"며 "이를 위한 접속 IP도 유해 IP로 분류해 통계를 산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통일부는 이 같은 사이버공격의 주체나 목적 등 세부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통일부는 "'통일 사이버안전센터'의 365일 24시간 보안관제 운영을 통해 해킹·사이버 공격을 차단·방어해 오고 있다"며 "현재까지 피해사례는 없다"고 전했다.

'통일 사이버안전센터'는 통일부 본부와 소속기관, 하나재단·하나센터,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등의 사이버보안을 담당한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국내에선 한국원자력연구원과 대우조선해양,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연구기관 및 방위산업체에 대한 해킹 등 사이버공격사례가 확인돼 논란이 됐다.

해커들은 이들 기관·업체에서 사용하는 가상사설망(VPN)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이용해 해킹을 시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들 연구기관·방산업체에 대한 사이버공격이 북한 해커조직의 소행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ys4174@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