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9명으로 인원 제한하는데"…집합금지에 교습소 "억울해"

특정인원만 소규모로 수업…"원격전환 어려워"
"인원 규제도 학원보다 강한데 집합금지는 똑같이 적용"

(서울=뉴스1) 정지형 기자 | 2020-12-11 14:00 송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86명 발생한 지난 9일 서울 용산구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고 있다./뉴스1 © News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686명 발생한 지난 9일 서울 용산구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고 있다./뉴스1 © News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수도권 학원과 함께 교습소에도 집합금지가 내려진 가운데 교습소 사이에서도 반발이 커지는 모습이다.

소규모로 수업이 진행되는 교습소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수업 환경이 다른 학원과 동일한 집합금지 조치를 받는 것은 억울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11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국교습소총연합회는 이날 교육부에 호소문을 보내고 오는 28일까지 수도권 소재 교습소에 적용되는 집합금지 조처를 철회해달라고 촉구했다.

한국교습소총연합회는 호소문에서 "교습소는 특정인원만 출입하는 공간으로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수업하는 곳이다"면서 "일괄적인 집합금지 대상에 포함하는 것은 잘못된 조치"라고 밝혔다.

학원과 달리 교습소는 일시수용인원이 최대 9명으로 제한된다. 피아노 교습소는 최대 5명까지만 가능하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일시수용인원도 기준보다 축소해 수업을 이어왔다는 것이 교습소 입장이다.

경기 성남시에서 영어 교습소를 운영하는 김모씨(42·여)는 "책상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거리두기에 환기와 소독도 지키고 있다"면서 "모든 상황에 대비해 모든 걸 지키고 있다"라고 밝혔다.

교습소는 원격수업으로 전환하는 것도 제한이 크다. 대부분 소규모로 강사에게 직접 지도받기 위해 교습소를 이용하는 탓이다. 교습소 대면수업 제한으로 학부모들이 개인과외로 전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교습소 원장 사이에서는 정부에 뒤통수를 맞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코로나19 발병 이후 정부 방역조치에 협조해 운영중단 등도 감내했는데 학원과 교습소에만 강화된 방역 기준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지난 6일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방안을 발표하면서 8일부터 3주간 수도권은 2.5단계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다만 수도권 학원과 교습소 등에는 3단계에 준해 집합금지 조처를 내렸다.

이전과 달리 학원과 동일한 집합금지 적용을 받는 것을 놓고도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 8월31일부터 2주가량 수도권 소재 모든 학원에 집합금지가 내려졌을 때 교습소는 제외였다.

학원가에서 교습소와 형평성 문제를 지적하면서 불똥이 튀어 교습소도 함께 집합금지 대상으로 묶였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경기 성남시에서 수학 교습소를 운영하는 김모씨(54·남)는 "교습소는 9명 인원 제한이 엄격하다"면서 "교습자도 1명만 가르칠 수 있는데 학원과 같이 집합금지 대상이 되는 것은 너무 억울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PC방이나 음식점은 현재 모두 운영한다"면서 "마스크도 벗지 않고 거리두기 유지하면서 수업하는 교습소가 집합금지 대상이 되는 것은 맞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반복되는 집합금지로 생계 걱정도 커지고 있다. 이미 대출로 임대료와 관리비를 메우고 있는 상황에서 1달가량에 이르는 공백이 다시 발생했다.

서울 송파구에서 미술 교습소를 운영하는 박모씨(56·여)는 "5개월째 임대료가 밀렸다"면서 "건물 주인에게 정말 죄송하다고 포기해야 하는 상황인데 포기를 못 하고 있다고 말씀드리니 힘내라고 해주시더라"라고 말했다.

지난 2~3월 대구와 경북을 중심으로 1차 대유행이 발생했을 때도 박씨는 교습소 운영을 두달간 중단했다.  박씨는 "그래도 아이 가르치는 선생으로서 자존심을 지키려고 두달 허리 졸라매면서 지켰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을 다시 열었을 때 학생들이 안 돌아와서 처음 시작하는 마음으로 다시 했다"면서 "그나마 겨우 연명해오고 있는데 말이 3주지 지금 한 달 더 쉬고 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라고 걱정했다.


kingkong@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