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K-방역 신화 흔들린다…'동시다발적' 3차 확산, 1·2차 확산보다 심각

전국서 동시다발적 확산, 더 심해지면 역학조사 능력 한계 봉착
청정지역 자처한 곳도 속속 뚫려…추워지면 상황 더 어려워져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이영성 기자, 김태환 기자 | 2020-11-19 05:00 송고 | 2020-11-19 06:56 최종수정
지난 1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창천초등학교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학생 및 교직원 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고 있다. (마포구 제공) 2020.11.18/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지난 17일 오후 서울 마포구 창천초등학교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학생 및 교직원 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고 있다. (마포구 제공) 2020.11.18/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3차 대유행의 기로에 서있다.

앞선 2~3월 대구·경북, 8~9월 수도권 유행보다 더 우려스러운 점은 특정 집단을 통한 확산이 아니란 점이다. 특정 집단에 의한 확산은 통제가 쉽다. 반면 지금처럼 산발적인 집단감염이 동시다발적으로 생겨나면 통제의 고삐를 놓칠 수 있다. 더 심해지면 '확진자 추적-접촉자 격리'라는 역학 조사를 통한 방역관리 시스템이 붕괴될 수도 있다.   

19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18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는 313명에 달했다. 지난 8월 29일 323명을 기록한 이후 81일 만에 300명대 기록이다. 이중 해외유입 확진자가 68명으로 적지 않았지만, 국내 지역발생 사례도 245명에 달했다.

방대본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지난 18일 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신규 확진자는 최소 221명에 달했다. 오후 12시까지 추가된 확산자를 감안하면 19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상당한 규모에 이른 것으로 우려된다. 

이미 일일 확진자는 전일(18일 0시 기준)까지 11일 연속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최근 15일 중 단 하루만 제외하곤 모두 세 자릿수를 나타냈다. 일일 확진자 추이는 이미 8월 중순 시작된 수도권 2차 유행 당시와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방역당국은 아직까지 3차 대유행이라는 평가는 유보하면서도 "변곡점이 될 수 있는 시기"라는 평가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18일 출입기자단과의 백브리핑에서 "지금 통제되는 수준에서 어쩔 수 없이 확진자가 발생하는 것인지에 대해 추이를 하루 이틀 더 봐야 가능할 것 같다"고 밝혔다.

◇1·2차 유행보다 동시다발적…"일정 수준 되면 역학조사 불가능"

방역당국은 최근 확산 상황이 산발적이고 일상 속을 파고 드는 점을 우려했다. 대규모 집단감염이 중심에 있었던 1,2차 유행과는 상황이 다르다.

박 팀장은 "방역 입장에서 전선이 많이 넓어졌다. 특정 시설 또는 직장 이런 곳에서의 노출이면 추적 관리가 용이할텐데 그렇지 않고 일상생활을 통한 전파가 빈번하게 다양하게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양상"이라고 밝혔다.

앞선 2~3월 대구·경북 중심의 1차 유행 당시에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신천지)'이,  8~9월 수도권 중심의 2차 유행 때는 성북구 사랑제일교회와 8·15 서울 도심집회 집단감염이 확산의 중심에 있었다.

1차 유행때는 일일 신규 확진자 규모가 900명, 2차 때도 400명선을 넘겼지만, 주요 집단감염을 중심으로 역학조사 역량을 모을 수 있었다. 확진자의 접촉이 서로 겹쳐 접촉면이 비교적 넓지 않기 때문이다. 규모만 컸지 통제도 상대적으로 용이했다.

그러나 최근 확산 상황은 전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 11일부터 17일까지 일주일간 1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한 집단감염은 총 24개가 발생했다.

유형별로는 가족·지인모임이 9개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기관·요양시설 5개 △다중이용시설 4개 △사업장 3개 △교육·보습시설 2개 △군부대 1개 등을 보였다. 지역 역시 수도권뿐 아니라 강원·광주광역시·경북·전남·충남 등 사실상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확산이 다양해질수록 확진자의 접촉면은 더욱 넓어지고, 역학조사관의 역량은 더 소모된다. '확진자 추적-접촉자 격리'라는 방역 시스템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전병율 차의과전문대학원 예방의학과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는 "확산의 범위가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역학조사 역량의 한계에 봉착한다"며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역학조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고 우려했다.

◇청정지역 자처한 곳도 뚫려…"노하우 없는 지역 문제"

최근에는 수도권이나 대구·경북처럼 확산을 충분히 경험한 곳이 아닌 '청정지역'을 자처했던 곳에서 확진자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도 우려스럽다.

경남 하동군에서는 지난 17일 확진자 2명이 발생한 이후 이틀새 18명(18일 오후 6시 기준)의 확진자가 무더기로 쏟아졌다. 강원 양구도 18일 첫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청정 지역' 명칭을 잃었다.

이밖에도 최근 지자체 자체적으로 거리두기 단계를 1.5단계로 격상한 전남 광양·여수·목포, 강원 철원 등은 대규모 확산과는 비교적 거리가 있던 지역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집단감염이 다발성으로 있는데다가 과거 발생하지 않았던 농촌 등에서도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다"며 "역학조사가 훈련되지 않았던 지역에서 발생하면 어찌할 줄을 모르게 된다. 노하우가 없으니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병율 교수는 "이제 겨울의 시작이다. 좀 더 추워지면 다 실내로 들어오는데 그럼 더 상황이 안 좋아진다"며 "물리적 봉쇄만 만능이 아니다. 생활에 있어서 방역수칙을 일상화하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hji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