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기아차 노조 쟁의행위 찬반투표 가결…'연쇄파업' 경고등 켜졌다

文 대통령 칭찬한 '2년 연속 무분규' 현대차 노조와 엇갈린 행보
기아차 노조 "협상력 높일 것…한국GM도 추가 파업 우려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2020-11-03 23:35 송고
사진은 기아자동차 광명소하리 공장. (뉴스1 DB) /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사진은 기아자동차 광명소하리 공장. (뉴스1 DB) /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국내 완성차 업계에 칼바람이 불고 있다. 기아자동차 노동조합이 쟁의권 확보를 위해 추진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조합원 73%가 찬성하며 연쇄파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글로벌 재확산 조짐에 따라 불확실성이 더해지고, 협력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지속되는 상황이라 노조 행보에 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차 노조가 이날 조합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쟁위행위 찬반투표에서 총원 2만9261명 가운데 2만6222명이 투표에 참여해 2만1457명(73.3%)이 찬성표를 던졌다. 과반이 찬성하면서 노조의 쟁의권 확보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기아차 노조는 지난달 말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쟁의조정 신청을 했다. 결과는 4일 중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중노위가 조정중지 결정을 내리면 기아차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 등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얻게 된다.

기아차 노사는 올해 임단협에서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22일 경기도 광명 소재 소하리 공장에서 9번째 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노조는 기본급 12만304원 인상, 지난해 영업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친환경차 시대 일감 확보를 위해 전기·수소차의 모듈 부품 공장을 별도로 만들지 말고 기존 공장 내에 설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아울러 잔업 30분 보장과 노동이사제 도입, 통상임금 범위 확대, 정년 연장 등도 제안했다.

노조는 이와 별개로 사측이 올해 3분기 실적에 세타2 엔진 결함과 관련한 대규모 충당금을 설정한 것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노조는 최근 기자회견을 열어 "3분기에 1조3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이 예상됐으나 사측이 품질 비용을 반영하면서 1953억원으로 대폭 감소했다"며 "품질 문제를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경영진의 무책임한 행위를 묵과할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판매 감소 등을 고려해 당장 노조가 전면 파업에 나설 가능성은 작다. 하지만 노조는 쟁의권 확보를 통해 임단협 교섭에서 협상력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노조는 소식지를 통해 "강력한 쟁의권을 확보한다면 사측의 불성실한 교섭 태도는 바뀔 것이고, 임단협은 빠르게 마무리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 9월 임금협상에서 11년 만에 기본급 동결에 합의한 현대차 노조와는 다른 분위기다. 현대차 노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무분규 합의를 끌어내면서 기아차의 임단협도 비슷한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기아차 노조는 투쟁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정부의 미래차 전략 발표를 위해 현대차 울산공장을 찾은 자리에서 현대차 노사의 무분규 협상을 칭찬한 상황이라, 기아차 노조가 어떤 선택을 내릴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한국지엠(GM) 노조의 추가 파업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국GM 노조는 지난달 30일과 이달 2일 전·후반조 근무자가 각각 4시간씩 부분파업을 했다. 지난달 23일 시작된 노조의 잔업과 특근 거부는 지속되고 있다. 업계는 노조의 쟁의행위로 인한 생산 차질 규모를 6700대로 추산하고 있다.

일단 사측이 노조에 추가 교섭 요청을 하면서 한국GM 노사는 4일 추가 교섭을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사측이 2년 주기 임금협상을 비롯한 기존 제시안을 유지할 가능성이 커, 반발이 예상된다. 노조는 교섭 이후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부분파업 연장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차기 노조위원장 선출을 앞두고 교섭이 중단된 르노삼성자동차도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지도부 구성까지의 물리적인 시간을 감안할 때 연내 임단협 타결은 불투명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르노삼성 노조도 이미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내수 및 수출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노사 협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말했다.


cho84@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