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전국민 무료접종 하자고?…"뭘 모르는 정치권"

올해 최대 생산량 3000만명분…전국민 접종, 물리적으로 불가능
유료 1100만명분만 무료 전환?…추가 접종대상 선정 논란 불가피

(서울=뉴스1) 김태환 기자, 이영성 기자, 이형진 기자 | 2020-09-16 16:00 송고 | 2020-09-16 16:57 최종수정
인플루엔자(독감) 국가예방접종 시행 첫 날인 8일 전북 전주시 인구보건협회 전북지회 가족보건의원에서 한 시민이 독감 예방주사를 맞고 있다. 이번 2020∼2021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무료로 받을 수 있는 국가예방접종 대상자는 생후 6개월∼만 18세 소아·청소년과 임신부, 만 62세 이상 어르신이며, 국가에서 지원하는 백신 역시 기존 3가 백신에서 4가 백신으로 변경됐다. 2020.9.8/뉴스1 © News1 유경석 기자
인플루엔자(독감) 국가예방접종 시행 첫 날인 8일 전북 전주시 인구보건협회 전북지회 가족보건의원에서 한 시민이 독감 예방주사를 맞고 있다. 이번 2020∼2021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무료로 받을 수 있는 국가예방접종 대상자는 생후 6개월∼만 18세 소아·청소년과 임신부, 만 62세 이상 어르신이며, 국가에서 지원하는 백신 역시 기존 3가 백신에서 4가 백신으로 변경됐다. 2020.9.8/뉴스1 © News1 유경석 기자

여야가 통신비 2만원과 독감 백신 무료접종 확대 방안을 한 데 섞어 4차 추경 예산을 처리하려 하고 있다. 여당에서 통신비 2만원 지원안을 내자 야당에서 독감백신 전국민 무료 접종을 내면서 서로 주고 받는 절충안을 만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현실과 동떨어진 얘기라고 평가된다.

올해 국내 독감백신 생산량은 약 3000만명분으로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무료 접종이 불가능한데다 세계적으로 집단면역을 형성하기 위해 인구의 50% 정도 접종만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국내에서 무료 접종을 제외한 유료 접종 1100만명분을 무료로 바꿀 경우, 추가 대상자 선정에 시비가 갈릴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1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국내 독감백신 생산량은 3000만명분이다. 전체 인구의 약 57%에 해당하는 물량으로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무료 접종 대상은 18세 미만 어린이·청소년과 임신부, 만 62세 이상 노인 등으로 1900만명분에 달한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 논의하고 있는 전국민 무료 접종은 생산 능력면에서  불가능하다. 실제 유정란을 이용한 백신 제조 방식의 경우 제조 생산에서 품질 검증까지 최소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독감백신 생산은 연초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유행 예상 바이러스를 발표하면 이 예상치를 갖고 3월부터 생산에 돌입한다. 백신 생산량에 대한 계획은 5월께 확정하고, 7~8월부터 국가출하승인 품질 검증을 시작한다.

때문에 현재 확보된 3000만명분의 독감백신은 지난 3월부터 이미 생산을 시작해 준비한 물량이다. 북반구인 우리나라 기준으로 독감의 유행시기는 11월부터 3월까지로 10월경 항체 형성을 위해 미리 맞도록 권장된다.

이러한 이유로 우선 국가가 유료 접종분 백신 1100만명분을 국내 백신 제조생산회사로부터 사들여 추가로 무료로 접종해야 한다는 주장도 뒤를 따른다. 그러나 이마저도 긁어부스럼이라는 지적이 적지않다.

1100만명 추가 무료 접종 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은 사회적 가치 기준에 의해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 노약자와 어린이, 임신부 등 감염 취약층에 대한 무료 접종을 확보한 상태에서 감염 차상위 취약층을 우선 순위에 놓을 지, 단순 저소득 순위를 우선 순위에 놓을 지 따져야 한다.

더구나 독감은 코로나19와 달리 백신과 치료제가 모두 존재한다. 집단면역이 일정 수준 이상 형성돼 대규모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일부 중증 감염자가 발생하면 '타미플루' 등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할 수 있다.

권준욱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독감 예방접종을 맞는다고 바로 항체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접종을 맞아도 2주간의 항체 형성기간이 또 필요하다"며 "여러 가지 방역 또는 역학적 논리상 전체 국민에 대해서 접종하는 것이 필요성이 낮기도 하고, 또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call@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