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전경련 "진정한 소부장 경쟁력 강화 위해 일본과 협력 필요"

'일본 수출규제 1년, 평가와 과제' 세미나
"한일 소부장 산업 특화지역 마련해야"

(서울=뉴스1) 정상훈 기자 | 2020-06-29 14:00 송고
(전경련 제공)© 뉴스1
(전경련 제공)© 뉴스1

일본의 소재·부품산업 수출규제 1년을 맞아 불화수소 등 일부 품목에선 국산화가 성공했지만, 더 큰 이익을 위해선 양국 간 수출규제를 완화하고 소재·부품·장비 협력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일본 수출규제 1년, 평가와 과제'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과 이홍배 한국동북아경제학회장, 서석숭 한일경제협회 부회장 등 이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일본 수출규제 1년 동안) 소재·부품분야의 일본 의존도를 낮췄고,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에는 별 차질이 생기지 않았다"면서도 "이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려는 양국의 노력은 여전히 미흡하다"고 말했다.

또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로 3월부터 취해진 각종 출입국 제한조치로 인해 한일 양국의 경제협력도 크게 경색되고 있어, 일본기업과 비즈니스를 하는 한국기업들은 발만 동동 굴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까지 우리 경제가 한중일 분업체제를 통해 발전해왔으며, 조선·전자를 비롯한 거의 모든 업종에서 한일 기업은 글로벌 밸류체인(GVC)으로 긴밀히 연계돼 있다"며 "진정한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일본과의 협력이 긴요하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중소업체 간 M&A(인수·합병)를 활성화하거나, 소재산업의 투자환경 변화를 뒷받침하는 등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재근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은 "일본과 한국의 대표 반도체 소재기업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3.8%와 2.6%로 큰 차이가 없으나, 기업별 평균연구개발비는 일본이 1534억원인데 비해 한국은 130억원에 불과할 정도로 양국 간 규모차이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잠재력 있는 업체지원 강화 등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면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소부장 글로벌화를 위해선 "반도체는 장비분야 기술개발, 디스플레이는 부품분야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글로벌 반도체‧디스플레이 소부장 사업단 설립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이홍배 한국동북아경제학회장은 “한일 소부장 산업은 강력한 분업체제를 통해 2018년 기준 약 811억달러 규모의 부가가치를 창출했다"며 "국내 소부장 산업이 글로벌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일본과의 긴밀한 협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 기업 관점에서 안정적 비용 절감과 국산화,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양국 소부장 산업 특화지역을 마련해야 한다"며 "기업 간 R&D(연구·개발) 프로젝트 활성화와 공동 기술개발·생산, 고숙련 기술·경영자 교류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전경련은 '한일재계회의' 등을 통해 일본 경제계와 쌓아온 30년 신뢰를 바탕으로 당면 현안인 한일 간 상호수출규제의 조속한 타결 및 한국 기업인의 일본 입국금지 조치 해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esang222@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