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코로나19' 전사들도 속수무책…의료진 감염예방에 두 팔 걷은 정부

의료진마저 240여명 확진…아무도 모르는 신종감염병, 반박자 느린 대책
이제라도 의료인력 감염 예방 총력, 비대면 진료·응급실 구획화 등 방안 시행

(서울=뉴스1) 이영성 기자, 음상준 기자 | 2020-04-07 06:00 송고 | 2020-04-07 09:57 최종수정
지난 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지역거점병원인 대구 중구 계명대 대구동산병원에서 한 의료진이 보호구 착용 전에 얼굴에 반창고를 붙이고 있다. 2020.4.1/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지난 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지역거점병원인 대구 중구 계명대 대구동산병원에서 한 의료진이 보호구 착용 전에 얼굴에 반창고를 붙이고 있다. 2020.4.1/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초동 대응 미숙과 예상을 뛰어넘은 강한 '코로나19'의 전파력까지 겹치며 의료진 감염자 수가 늘고 있다.

'코로나19' 국내 유입 초기엔 비교 대상으로, 2015년 우리나라를 아수라장으로 만들었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를 떠올릴 수밖에 없었다. 당시엔 병원 내부 전파에만 그쳤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지역사회 확산세를 예상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두 바이러스의 차이는 뚜렷했다. 지난 6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만284명, 사망자 수는 186명으로 메르스 때보다 각 55배, 4.9배 수준을 기록했다. 문제는 아직도 '코로나19' 유행이 진행 중이란 점이다. 급증한 확진자 수만큼 '코로나19'의 강한 침투력을 이기지 못한 의료진도 덩달아 증가했다. 그중에선 최근 사망자도 나왔다. 정부는 '코로나19' 최전선에 있는 의료진의 감염 예방에 두 팔을 걷고 나선 상태다.

◇처음 보는 감염병, 무지가 불러온 비극…최전방 의료진 감염↑, 사망도 발생

7일 정부에 따르면, 지난 3일 0시 기준 의료인력 감염자 수는 전체 확진자 대비 2.4%인 241명을 기록했다. 의사가 25명, 간호인력이 190명 그리고 임상병리사와 방사선사 등 기타 분류가 26명이다.

그중 확진 판정을 받기 전 환자를 진료한 뒤 감염된 의사는 6명, 간호인력 57명, 기타는 3명으로 나타났다. 해당 환자가 무증상(무자각)자인지 유증상자인지 정부의 구체적인 자료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어쨌든 60명이 넘는 의료인력이 무방비 상태에서 그대로 '코로나19'에 노출된 사례다.

이는 결국 급증해온 확진자 수만큼, 의료진 감염자 수도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곧 초기 '코로나19' 특성 파악이 어려웠던 게 가장 큰 영향을 줬다는 해석이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 칭찬을 받는 정부의 방역대책은 초기엔 구멍이 많다는 질타를 많이 받았다.

정부는 지난 2월20일을 기점으로 사실상 모든 감염 의심자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방역 지침을 개정한 바 있다. '코로나19'가 국내 유입된 지 한 달 만이다. 돌이켜보면, 이는 당시 정부가 의료진을 포함한 전 국민에게 보낸 '코로나19 특성은 예측불가'라는 비상 신호였던 셈이다. 당시 변경된 지침에는 '코로나19' 감염시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반드시 동시에 발생하는 것은 아니란 세간의 지적이 뒤늦게 적용됐다. 더 이상 해외 여행력이 있는 사람만 의심 환자로 보기 어렵다는 점도 고려됐다.

하지만 당시 지침 변경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경산지역 한 의사가 자신이 2월26일 진료한 환자로부터 결국 감염돼 지난 3일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도 발생했다. 국내 첫 의사 사망 사례로 그는 3월18일 폐렴증세로 경북대 응급실을 찾아 다음 날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의사가 진료한 환자는 지난달 6일 먼저 확진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19'의 특성은 무증상(무자각) 감염자도 바이러스 전파가 가능하다는 것까지 드러난 상태여서 긴장감을 더욱 키우고 있다. 정부도 이를 받아들이고 최근 접촉자 범위를 확진자의 증상발현 이틀 전부터 접촉한 사람으로 확대했다. 무증상 감염자의 전파 가능성은 노약자들이 밀집돼 있는 의료기관에서 그야말로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  

◇의료진 감염 더 이상 안돼…"비대면 진료 적극 활용, 응급실도 구획화"

'코로나19' 최전방에 있는 의료진 감염자가 계속 늘면서 정부는 의료인력 안전을 위해 감염예방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우선 가벼운 감기환자와 만성질환자 등은 '전화 상담·처방'과 '대리처방' 등 비대면 진료를 적극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의료기관 내 별도공간에서 의료인 보조인 대동으로 원내 의사와 화상으로 진료하는 방식도 포함된다.

또 폐렴 증상이 있는 경우 입원실과 중환자실 진입 전 진단검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응급실에는 사전환자분류소와 격리진료구역을 마련해 중증도가 높은 응급환자 중 호흡기증상이 있는 경우 격리진료구역에서 응급처치와 함께 진단검사를 받아야 한다. 경증 응급환자는 선별진료소 이동 뒤 진단검사 후 응급실로 들어갈 수 있다.

'코로나19' 환자뿐 아니라 모든 입원환자 진료 시 손 위생이나 개인보호구 착용, 환경소독 등 예방수칙을 적용한다. 언제, 어디서 감염자가 있을지 모를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선별진료소 의료인력이 잠재적 확진자와 접촉하는 범위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동선․구조에 대한 표준 모델과 운영지침도 마련할 계획이다. 승차 진료(드라이브 스루) 등이 표준 모델에 들어간다.

아울러 감염병 전담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에는 확진자와 의료진 동선을 구분한 안전지대(세이프 존)를 확보할 예정이다. 정부는 일반병실을 음압병실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동형 음압기를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lys@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