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코로나 종식 선언 환상에 가깝다…치료역량 끌어올려야"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내내 일일 신규확진자 100명대 등락
지금으론 생활방역 전환 어려워…"사망위험 줄어야" 의견도

(서울=뉴스1) 음상준 기자, 이영성 기자 | 2020-04-04 06:00 송고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종식은 환상에 가깝고 인플루엔자(독감)처럼 매년 유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정부 방역대책도 치료역량을 끌어올리는데 집중돼야 한다는 전문가 진단이 나왔다.
사회적 거리두기냐, 생활방역이냐를 논의하기 전에 고위험군인 노인과 기저질환자의 사망자 위험을 낮추고 치료법 개발에 정부 자원을 쏟아 부어야 한다는 것이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기존의 생활방식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같은 우려는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진행 중인 지난달 22일부터 3일까지 일일 확진자 규모가 100명 선을 등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기간 동안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대 이하로 내려간 적은 한 차례도 없었다.

다만 3일 0시 기준 대구 일일 확진자 수가 9명으로 감소했다. 지난 2월 18일 대구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지 45일 만이다. 일일 확진자 규모를 한 자릿수 이하로 줄이겠다는 권영진 대구시장의 '3.28 대구운동'이 일주일가량 늦게 실현된 셈이지만,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지 장담하기 어렵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부도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연장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으는 분위기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 2일 중대본 회의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는 감염을 다시 확산시킬 위험이 있다"며 "빠른 시일 내 의견 수렴과 정부 논의를 거쳐 사회적 거리두기를 어떻게 지속할 것인지 국민에게 말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 여부에 대한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혹여 생활방역 도입을 발표한다고 해도 기존 사회적 거리두기 방식과 별다른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가정과 집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상황별로 행동요령을 알려주는 예방수칙을 추가로 공개하는 선에서 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다.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이에 따라 신약이 아니어도 다양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 나오면 국민 불안이 크게 줄어들고 향후 생활방역으로의 전환도 용이해질 수 있다는 게 감염병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처럼 정부가 특정 시점에 코로나19 종식을 선언하는 상황은 환상에 가깝고 실제로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국민은 건강 문제를 가장 걱정하고 있으며, 이 부분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정부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회복기 환자의 혈장을 사용하든 약물 재창출이든 사망자가 줄어드는 게 중요한 문제"라며 "지금 같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최소 3~4개월 유지하되, 정부 역량을 총동원해 폭넓게 사용할 만한 치료법을 고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지난달 31일 확보한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임상시험을 포함한 코로나19 치료제 연구개발(R&D)에 뛰어들었다.

세부 내용을 보면 임상에 사용하는 약물 중 말라리아 치료제인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이 코로나19 밀접 접촉자에게 예방 효과가 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또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치료제인 칼레트라와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병용 투여해 경증환자에게 바이러스 차단 효과가 있는지 분석 중이다.

김우주 교수는 "정부는 지금이라도 용기를 내 코로나19의 완전한 종식 선언이 어렵다는 것을 국민에게 소상히 밝히고 이해를 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단기적으로 신약과 백신 개발은 어렵겠지만, 효능을 검증한 치료법을 확립하면 국민 불안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sj@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