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배우자 폭행 피해' 당하고도 86% 신고 안해

여가부 2019년 가정폭력 실태조사

(서울=뉴스1) 이헌일 기자 | 2020-03-26 12:00 송고
© News1 DB
© News1 DB

배우자로부터 폭행을 당한 피해자 중 86%는 관련 기관에 도움을 청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9년 가정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04년부터 3년마다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다. 가정폭력 피해 경험, 폭력 피해 영향, 도움 요청 정도, 가정폭력 인식, 정책인지도 등을 조사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90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먼저 배우자에 의한 폭력은 여성이 배우자로부터 폭력 피해를 입은 경우는 10.3%를 나타내 2016년 12.1%에 비해 1.8%포인트 감소했다. 폭력 유형별로는 정서적 폭력이 8.1%, 성적 폭력 3.4%, 신체적 폭력 2.1%, 경제적 폭력 1.2% 순이었다.

남성이 배우자로부터 폭력 피해를 입은 경우는 6.2%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정서적 폭력 5.8%, 신체적 폭력 0.9%, 경제적 폭력 0.8%, 성적 폭력 0.1%로 조사됐다. 

배우자에게 폭행을 당했을 때 대부분은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폭력을 경험한 여성 중 48.3%, 남성 중 40.7%는 '별다른 대응을 한 적이 한 번도 없다'고 답했고, '자리를 피하거나 집 밖으로 도망갔다'는 응답도 12.5%였다. '맞대응했다'는 응답은 43.1%였다.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는 '배우자이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21.9%, '대응해도 달라질 게 없을 것 같아서' 14.9%, '폭력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해서' 13.7% 순이었다.

또 배우자 폭력 경험자의 85.7%는 경찰, 여성긴급전화 1366, 가정폭력상담소 등에 도움을 요청한 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움을 요청한 곳은 '가족이나 친척'이 7.2%, '이웃이나 친구' 3.6%, 경찰 2.3%, 여성긴급전화 1366 0.4%, 가정폭력상담소 및 보호시설 0.4% 등이었다.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폭력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해서' 32.8%, '그 순간만 넘기면 돼서’ 26.2% 등이었다. 피해자 지원기관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이유도 '폭력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해서'가 30.1%로 가장 많았고, '부부간에 알아서 해결할 일인 것 같아서'는 25.8%를 차지했다.

배우자에게 폭력을 행사한 이유는 '배우자가 나를 무시하거나 내 말을 듣지 않아서'(여성 63.6%, 남성 63.9%), '배우자로서의 의무와 도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여성 20.2%, 남성 15.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아동폭력에 관련한 조사에서는 만 18세 미만 아동을 양육하는 사람 가운데 지난 1년간 아동을 학대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은 27.6%로 나타났다. 폭력 유형별로는 정서적 폭력 24%, 신체적 폭력 11.3%, 방임 2.0% 순이었다.

노인학대 분석에서는 65세 이상 국민이 지난 1년간 자녀, 사위, 며느리, 손자녀로부터 신체적, 경제적, 정서적 폭력과 방임 중 하나라도 폭력을 경험한 비율은 3.8%를 나타내, 2016년(7.3%)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유형별로는 정서적 폭력 3.5%, 방임 0.3%, 신체적 폭력 0.2%, 경제적 폭력 0.2% 순이었다.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부문에서는 '가정폭력은 가정 안에서 해결해야 할 개인적인 문제다'라는 질문에 아니라고 응답한 비율이 81.5%를 차지했다. 또 94.7%는 '이웃의 아동학대를 목격하면 신고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답했고, 88.3%는 '이웃의 부부간 폭력을 목격하면 신고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답했다.

이정옥 여가부 장관은 "배우자가 폭력행동을 했을 때나 그 이후 경찰, 여성긴급전화 1366 등 공적인 지원체계 보다는 가족이나 친구 등 사적 관계에 도움을 요청하는 비율이 여전히 높다"며 "국민들이 도움이 필요할 때 쉽고 편리하게 피해자 지원기관 등 공적인 지원체계를 이용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honey@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