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文정부 반환점]日·中도 눈독들이는 '수소패권'…장기전 컨트롤타워 절실

[수소경제 진입 원년下]생산과정 친환경 논란·충전소 경제성·폭발 우려까지...세간 오해 불식 정책 지속이 관건

(서울=뉴스1) 임해중 기자 | 2019-11-09 07:05 송고
그래픽=최수아 디자이너© News1
그래픽=최수아 디자이너© News1

수소경제 물꼬는 자동차가 텄지만 정책 지원에 나선 정부가 원군을 자처한 덕에 속도가 났다. 정책 드라이브를 건지 1년만에 많은 성과를 낼 수 있었던 원동력이다.

물론 성패를 얘기하기에는 이르다. 수소 생산 및 보급 한계가 있고 풀어야할 숙제도 상당하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2년 반만에 수소시대 문이 열렸지만 지속적이고 일관된 정책이 없으면 반짝 성과에 그칠 우려가 있다.

걸림돌은 수소경제에 대한 오해다. 높은 수소 단가와 생산 과정의 화석연료 사용으로 수익성은 물론 대기질 개선효과가 낮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하는 게 사실이다.

정부가 컨트롤타워를 갖추고 풀어 나가지 않으면 이같은 오해가 진영 입맛에 따라 수소경제를 흔드는 빌미가 될 수도 있다.

◇"수소는 궁극의 친환경 에너지일까?"…오해와 진실은

태안 해양바이오 수소 실증플랜트 모습(뉴스1DB)© 뉴스1
태안 해양바이오 수소 실증플랜트 모습(뉴스1DB)© 뉴스1

수소경제에 의문을 갖는 이유는 다양하다.

우선 수소 생산방식과 이용 효율에 대한 의문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수소는 석유화학·철강제품 등의 제조공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부생수소다. 일각에서는 부생수소를 친환경으로 생산됐다고 보기 어려운 것은 물론 발생한 자리에서 곧바로 발전용으로 이용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의문이 나온다.

그런데 부생수소를 곧바로 발전용으로 활용하려면 대규모 연료전지스택과 이를 저장할 전지가 필요하다. 기존 산업시설에 또 다른 형식의 발전시설을 지어야한다는 의미로 이미 울산 화력발전소 내에 1MW급 수소연료전지 발전 설비를 짓는 사업 등이 추진 중이다.

"수소생산이 친환경이지 않은데다 그 자리에서 쓰면 되는데 수소차에 공급하는 식으로 수소경제를 준비하는 건 비효율적이다"는 시각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수소생산 방식의 비판 논리도 마찬가지다. 추가 수소 생산을 위해서는 화석 에너지를 투입해 물을 분해해야하는데 이를 친환경 에너지로 볼 수 있냐는 의문이다. 친환경 방식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트렌드 변화를 감안하지 않아 나오는 오해다.

에너지 업계가 수소생산에 접근하는 방식은 혁신 기술에 기반한다. 예컨대 광활한 부지에 내려쬐는 태양광으로 물을 분해할 수 있는 호주, 뉴질랜드 등에서 수소를 수급하는 식이다. 여기에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을 걱정할 필요 없는 미생물 생산 방식도 개발 중이다.

수소 생산에 화석연료가 투입되니 수소경제는 헛된 얘기라는 주장은 이같은 준비를 배제한 대안 없는 비판이다. 여러 방식의 수소생산 방식의 개발 가능성을 부정하는 건 자칫 화석연료로 회귀하라는 의미로 여겨질 수도 있다.

수소충전소 운영성에 대한 의문도 짚고 넘어갈 부분이다. 현재 수소충전소 1기당 200㎏가량을 충전할 수 있는데 정부 로드맵에 따라 2030년 수소단가를 4000원으로 낮추면 하루 매출이 80만원에 불과해 충전소 확대가 불가능하다는 반론이 나온다.

문제는 해당 분석이 현재의 충전 용량에 2030년 수소단가를 곱해 나왔다는 점이다.

정부는 수소로드맵에 따라 충전소 설비용량을 하루 1200㎏까지 상향 조정할 방침이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충전소 하루 매출은 수소단가가 4000원일 때 480만원으로 뛴다.

이를 위해 현대차 등은 금속수소화물 수소저장탱크 기술 등의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단가가 맞지 않아 충전 인프라 구축자체가 어렵다는 비판 역시 현재의 관점으로 수익성을 따지는 단편적인 해석이다.

◇정권따라 입맛 정책은 경계해야 '컨트롤타워' 절실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무엇보다 수소안전성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서울시가 추진하던 강서 수소생산기지는 안전성 논란으로 사업이 백지화됐다.

불길을 감지하면 곧바로 고압가스를 배출하는 방식으로 극한의 환경에서 폭발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설명은 소용이 없다. 시작단계인 수소생산 시설의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으니 주민반대가 생기는 건 당연하다.

수소대중화는 장기전이다. 이런 오해들은 정부가 수소정책을 추진하는 컨트롤타워를 갖추고 안정성과 실효성을 검증하며 풀어야할 문제들이다.

특히 일각의 오해를 이유로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책 동력을 상실하는 일을 경계해야한다.

수소경제는 산업·환경적인 측면에서 성장 가능성이 크다. 수소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 충전소 등 인프라 사업은 물론 장기적으로 수소 발전소 산업 육성의 물꼬를 틀 수 있다.

일본과 중국이 일찌감치 수소경제를 선언한 배경이다. 정치적 갈등은 배제하고 대승적인 차원에서 접근하는 자세가 없으면 경쟁에서 도태될 우려가 있다.

수소정책을 진두지휘하는 컨트롤타워를 마련하고 4차 산업혁명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수소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유환익 한국경제연구원 혁신성장실장은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의 규제 장벽을 제거하고 기업 혁신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haezung2212@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