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3.7→4.1→4.3→3.8' 벌써 네번째…"기존 발생지"라지만

작년 1차례 불과하던 4.0 안팎 지진 올해 들어 다발
기상청 "큰 연관성 없어"…일부 "울산 잠재력 높아"

(서울=뉴스1) 김도용 기자 | 2019-04-22 14:17 송고 | 2019-04-22 15:08 최종수정
22일 오전 5시45분쯤 울진군 동남동쪽 해역에서 규모 3.8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 제공). © 뉴스1
22일 오전 5시45분쯤 울진군 동남동쪽 해역에서 규모 3.8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 제공). © 뉴스1

올해 들어 규모 4.0에 가까운 지진이 네 차례나 발생하면서 한반도에서의 대형 지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기상청은 최근 지진에 대해 "평소 발생하는 곳"이라고 과도한 해석을 경계하고 있지만, "또 다른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일부 학자들의 경고도 나온다. 

22일 오전 5시45분쯤 경북 울진군 동남동쪽 해역에서 규모 3.8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 지진은 동남동쪽 38㎞ 해역(북위36.86, 동경129.80), 21㎞ 깊이에서 발생했다.

지난 19일 강원 동해시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 해역(북위 37.88도, 동경 129.54도, 깊이 약 32㎞)에서 규모 4.3의 지진이 발생한지 사흘 만이다.

올해 들어 진도가 높아 피해가 우려되는 규모 4.0을 넘거나 가깝게 발생한 지진은 벌써 네 번째다. 지난 1월 백령도의 남남서쪽 76km 해역에서 규모 3.7, 지난 2월 포항 동북동쪽 50km 해역에서 규모 4.1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진도가 4일 경우 실내에서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밤에는 깨기도 하며, 그릇과 창문 등이 흔들릴 정도다. 3일 경우에는 실내,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이 현저하게 느끼며, 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린다.

다만 올해 발생한 진도 4 안팎의 지진은 해안에서 수십 ㎞ 떨어진 해양에서 발생해 내륙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도와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지난해에는 규모 4.0을 넘거나 가깝게 발생한 지진은 2월 포항 북서쪽 5km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4.6 지진이 유일했다.

거듭되는 큰 지진에 많은 시민들이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기상청은 큰 문제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우남철 기상청 지진전문분석관은 "연속으로 규모 4.0대 지진이 발생, 걱정이 많은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지진이 (평소) 발생하던 곳에서 발생한 것이다. 시기적으로 연속성을 갖고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19일과 오늘 지진이 발생한 두 지점의 거리가 약 116㎞로 멀다. 그리고 19일 지진이 오늘 지진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크거나 강력하지 않았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두 지진은 큰 연관이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의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지난 19일의 지진이 오늘 지진에 영향을 주기에 거리가 먼 것은 사실이지만 두 지진은 같은 단층에서 발생했다. 그동안 동해, 울진 해역에서 큰 지진이 없었는데 이번 지진을 통해 이 단층이 지진을 유발하는 곳임이 입증된 셈이다. 한반도와 일본 사이의 열곡대는 앞으로도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곳"이라고 경고했다.

홍 교수에 따르면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동해 해역은 과거 일본 열도가 한반도로부터 분리되면서 만들어진 열곡대가 존재하는 곳으로 지각이 약한 부분이다.

홍 교수는 "내륙과 해안을 구분하지 않고 한반도에는 최대 7.0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후 한반도는 일본 열도 쪽으로 끌려가 지진이 발생하기 더 쉬워졌다"면서 "큰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파가 뻗어나가 또 다른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 포항 이남에서 울산지역은 앞으로 지진이 발생할 잠재력이 높은 지역"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19일 동해에서 지진이 났을 때 규모가 4.0을 조금 넘었는데도 서울에서도 느꼈다고 한다. 만약 이보다 더하면 황해안쪽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동일본 대지진이 동해안 지진을 거쳐 육지, 황해안까지 연속성을 가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반도에서 발생 가능한 지진 규모에 대해 우 분석관은 "기상청은 지난 1978년부터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최대 6.2의 지진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dyk0609@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