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질감·온도·압력·소리 감지하는 ‘인공 전자피부’ 개발했다

UNIST 고현협・동아대 이헌상 교수팀…손가락 지문 모사해 미세질감 감지

(울산=뉴스1) 이상문 기자 | 2015-11-01 10:15 송고 | 2015-11-01 10:17 최종수정
사람의 손가락 피부와 인공전자 피부 비교. © News1
사람의 손가락 피부와 인공전자 피부 비교. © News1

지문을 비롯한 손가락 피부 내부 구조까지 모사해 표면의 질감, 온도, 압력, 소리까지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인공전자피부가 개발됐다. 손이 느끼는 모든 감각을 감지할 수 있어 로봇이나 의수 보철기, 웨어러블 소자, 건강진단, 음성인식 등 다방면에 기여할 전망이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이 학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고현협 교수와 동아대 이헌상 교수 공동 연구팀이 다기능 센서 역할을 하는 ‘생체모사 전자피부’를 개발해 ‘사이언스 어드밴스’ 10월 30일자에 발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전자피부는 기존 촉각센서로는 불가능했던 미세표면 거칠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물방울이 충돌할 때 생기는 미세한 압력과 온도 변화도 잡아낸다. 손가락 지문처럼 굴곡진 표면을 입힌 덕분이다.

사람은 손으로 물체를 만지면서 표면 구조와 온도 거칠기 등의 정보를 감지한다. 피부 안에 압력, 온도, 진동 등을 감지하는 감각 수용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피부 안쪽의 독특한 마이크로(μ) 구조가 촉각을 예민하게 만든다. 미세한 돔들이 서로 맞물린 구조가 촉각 신호를 증폭시켜 감각 수용기에 전달하기 때문이다. 또 손끝 지문은 표면에 접촉하면서 진동을 일으켜 미세한 거칠기를 감지한다.

연구진은 고분자 복합소재 필름을 가공할 때, 한 면에 마이크로 크기의 돔(dome)들을 형성되도록 했다. 그런 다음 볼록한 부분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필름 두 장을 배치했다. 피부 안쪽처럼 마이크로 구조가 맞물리도록 만든 것이다. 여기에 지문처럼 굴곡진 표면을 가진 인공지문을 입혀 유연한 생체모사 전자피부를 완성했다.

UNIST 고현협 교수팀(왼쪽부터 이영우 연구원, 박종화 연구원, 고현협 교수). © News1
UNIST 고현협 교수팀(왼쪽부터 이영우 연구원, 박종화 연구원, 고현협 교수). © News1

이번 연구에 제1저자로 참여한 박종화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전자피부는 소리로 인한 진동 변화를 감지해 스마트폰보다 더 정확하게 음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청각장애인을 돕는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공동 제1저자인 김마리 동아대 화학공학부 석사과정 연구원은 “피부 온도에 따라 변하는 맥박을 살필 수 있는 등 생체정보 인식도 가능하다”며 “보안 및 사물인터넷 분야에도 쓰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동아대 이헌상 교수와 김마리 연구원. © News1
동아대 이헌상 교수와 김마리 연구원. © News1

이번에 개발된 전자피부는 기존보다 제조 공정도 간단해졌다. 동아대 화학공학부 이헌상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인공전자피부는 복잡한 집적 공정 없이 저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며 “일체형 유연소자로 다양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는 게 큰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UNIST 고현협 교수는 “새로운 인공전자피부의 특성을 활용하면 촉각뿐 아니라 온도, 표면질감, 소리까지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며 “앞으로 로봇 피부, 웨어러블 소자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소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iou518@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