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고령화 시대 노인 복지…'사회적기업'이 해답

"노인 인적자본 인식, 노동력 활용 고민해야"
"사회적 기업 특성화, 전문화하고 정보 공유해야"
2013 IAGG 사회적기업 특별 심포지엄 논의

(서울=뉴스1) 염지은 기자 | 2013-06-24 23:17 송고 | 2013-06-24 23:56 최종수정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20차 세계 노년학·노인의학대회에 참가한 각국 회원들. © News1 최영호 기자


고령화시대 노인 복지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기업'의 적극적인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다.

24일 서울 코엑스서 개최된 제20차 세계 노년학·노인의학대회(IAGG 2013)의 사회적기업 특별 심포지엄에서는 '고령화 시대 사회적기업의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학술적 접근, 정책과 사례 발표 등 종합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첫번째 발표에 나선 정무성 숭실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고령화 시대의 노인 빈곤과 자살, 노인복지 재원 조달 문제 등을 지적하며 사회적기업 활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교수는 "국가와 사회 전체의 노인복지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된다"며 "지금까지의 노인복지가 돈이나 서비를 주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노인들의 잠재력을 활용해 자활, 자립할 수 있는 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노인들의 인적 자본을 인식하고 그들의 노동력을 활용하려는 고민을 적극적으로 할때가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평생교육 체계 지원, 근로능력 향상, 창업 지원 프로그램이 적극 개발될 필요가 있다. 단순한 노동 연계뿐 아니라 어르신들이 일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창업을 지원할 수 있는 생태계를 활성화시켜 노인들이 취업하고 자립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이는 노인들이 심리적 우울증을 극복하고 빈곤 문제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하는 등 여러 가지 이득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우 일하고 싶어하는 고령자들이 많은데 나이가 많다고 미리 포기하거나 이전에 일자리를 구해봤지만 없었다는 이유 등으로 직장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며 "노인에 대한 인식도 건전하고 생산적인 인력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지역사회 경제와 연계해서 노인 일자리를 추진하는 게 우리 사회의 과제이다. 지역사회 생태계가 마련되면 어르신들이 좀 더 많은 일자리 찾고 빈곤, 건강, 심리적 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며 "기업들도 어르신을 위한 후원을 통해 창업·취업 기회를 많이 만드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라준영 가톨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지속 가능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기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고령화 문제와 관련해 시장실패 영역에서 정부의 현명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혁신 생태계는 기술혁신과 사회혁신 육성 생태계로 생각해볼 수 있는데 기술혁신 생태계는 인프라가 잘 돼 있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적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수 있다"며 "벤처 생태계 인프라, 중기 인프라를 활용해야 하고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정책기금 조성도 해결과제"라고 했다.

이어 "전문적인 그룹들이 생겨나 노인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들을 찾아야 하며 지역혁신 거점센터가 노인, 주민과 함께 창업, 사회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말했다.

그는 또 "사회적 자본에 대한 재정지원 형태를 복지형, 위탁사업형, 지속가능형, 상업형, 혁신형 등 다양한 옵션으로 구성해 소셜 임팩트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중요한 것은 규모가 큰 범위에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지가 가장 우선적인 기준이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국은 자산펀드들이 300만 달러에서 1000만 달러까지도 투자하는 등 투자 규모가 크다. 수익성을 만들어 낼 수 없는 분야도 자선펀드 들이 규모있게 해결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복제, 성장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 펀드, 지원 조직이 있으며 사회적기업 생태계가 저절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생태계 촉매 역할을 하는 전문 조직, 전문가가 필요하며 우리도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조영복 부산대 경영학과 교수(사회적기업연구원장)는 '사회적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부. 대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 사회적 기업이 양적 팽창을 했지만 질적 한계에 부딪혀 있으며 새로운 물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회적기업은 2007년 사회적기업법 도입후 6월 현재 인증된 기업이 828개, 예비사회적기업이 1682개에 달하는 등 양적 팽창을 했지만 평균 매출액과 순이익은 감소하는 등 질적 한계에 부딪힌 상태다.

그는 "정부가 좀 더 창의적이고 의지가 있고 기술이나 자산이나 역량을 가진 사람들을 사회적기업에 유입해야 한다"며 "자금도 이제는 민간자본을 활용하고 사회적 채권 등 선진제도를 도입해 성과 있는 곳에 자금이 흘러가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지적했다.

기업에 대해서는 "기업들이 그동안 사회적기업에 지원한 경험, 사례들을을 기업끼리 공유하고 1차 벤더들도 공유해야 한다"며 "사회적기업에 대한 직접 지원보다 경영능력 등을 도와 생태계 조성 역할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기업의 사회적기업 지원을 일반화하지 말고 기업별로 특성화하고 기업간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고 그것을 키워 더 크게 만드는 역할을 해야 한다. 기업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공유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프레임을 만들면 좋을 듯 하다"고 조언했다.


senajy7@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