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5G 3년 사용법]②통신은 이통사 전유물?…네이버·한전도 뛰어든 '특화망'

5G 산업 육성 위해 '이음5G' 사업 추진…주파수 할당 절차도 '간소화'
5G 특화망 사업자 네이버클라우드·LG CNS 2곳…성공 사례 필요

(서울=뉴스1) 윤지원 기자 | 2022-04-03 08:00 송고
편집자주 한국은 2019년 4월3일 5세대(5G) 스마트폰 이동통신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개시했다. 올해로 5G 상용화 3주년을 맞은 셈이다. '꿈의 통신'으로 불리며 주목을 끈 만큼 상용화 이후 속도 논란에 소비자들의 불신은 여전하다. 하지만 5G는 '초연결 사회'라는 불가항력의 흐름을 실현하는 기술진화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막대한 투자비를 상쇄할 '5G 활용처'가 마땅찮은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정부와 이통사는 공동망, 특화망, 28㎓ 시범서비스 등 해법을 찾아가고 있다. 5G 상용화 세계 최초의 타이틀이 무색하지 않도록 B2C와 B2B를 아우르는 '5G 서비스' 대중화가 절실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네이버클라우드가 신청한 5세대(5G) 이동통신 특화망 할당과 기간통신사업 등록이 완료됐다고 28일 밝혔다.(과기정통부 제공) © 뉴스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네이버클라우드가 신청한 5세대(5G) 이동통신 특화망 할당과 기간통신사업 등록이 완료됐다고 28일 밝혔다.(과기정통부 제공) © 뉴스1

세계 최초란 타이틀에도 품질 논란이 끊이지 않은 5세대(5G) 이동통신을 두고 정부는 '특화망'이란 승부수를 띄웠다. 그간 이동통신사의 전유물이었던 5G 주파수를 일반 기업들에도 제공해 활용처를 확대하기 위해서다. 클라우드·시스템통합(SI) 등의 기업들이 하나둘씩 특화망 사업에 진출하는 가운데 5G 기반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사업자가 직접 5G망 활용하는 '이음5G'

지난해 1월, 정부는 5G 시장 활성화를 위해 특화망 정책 방안을 발표했다. 5G 특화망이란 건물, 공장 등 특정 지역에 한해 사용 가능한 5G망을 말한다. 기존 이통3사가 제공하는 상용망을 활용하는 대신 사업자가 자체적인 전용망을 구축해 5G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개별 기업 및 기관은 4.7기가헤르츠(㎓), 28㎓ 대역의 5G 주파수를 받아 활용할 수 있다. 5G 특화망의 활용처에는 스마트 공장, 건설 현장 안전 장비 관리, 원격 진료 및 수업 등이 있다. 지난해 정부는 5G 특화망에 '이음 5G'라는 새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이처럼 정부가 특화망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경쟁 활성화'와 '5G 산업 육성'을 위해서다. 5G망의 구축·운영 주체를 이통3사에 한정할 경우 관련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또 다양한 사업자들의 참여로 제조업 외 문화, 에너지, 교육, 공공분야 등으로 5G 특화 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다는 기대도 있다.
해외에서도 5G 특화망 사업을 추진 중이다. 독일의 경우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120여개 기업 및 기관이 특화망 면허를 취득했다. 일본과 영국 또한 각각 45개, 13개 기관이 면허를 발급 받아 5G 특화망 사업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6월29일 이창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정책국장이 세종시 어진동 과기정통부 브리핑실에서 '5G 특화망 주파수 공급방안 확정·발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1.6.29/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지난해 6월29일 이창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정책국장이 세종시 어진동 과기정통부 브리핑실에서 '5G 특화망 주파수 공급방안 확정·발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1.6.29/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5G 특화망 사업자 현재까지 2곳…"성공 사례 필요"

정부는 3개월 이상 소요되던 주파수 할당 심사 기간을 1개월로 단축하면서까지 특화망 사업 독려에 나섰다. 이에 최근 클라우드·SI 기업을 중심으로 특화망 사업에 뛰어들고 있지만 사업자들은 선뜻 나서지 못하는 모양새다.

현재까지 5G 특화망을 받은 사업자는 단 두 곳이다. 가장 먼저 네이버클라우드가 5G 특화망 1호 사업자로 선정됐다. 지난해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네이버클라우드의 특화망 신청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네이버클라우드는 네이버 제2사옥 내에 자율주행 로봇을 운영하는 데에 5G 특화망을 활용한다.

지난 30일에는 LG CNS가 두번째로 5G 특화망을 할당 받았다. LG CNS는 특화망을 스마트공장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엘지이노텍 구미2공장 내에 특화망을 구축하고 불량품 검사, 무인운반차량 운용, 작업자에게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도면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세종텔레콤,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의 사업자와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5G 특화망 실증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다만 다수 사업자들은 아직까지 특화망 사업의 비용과 편익을 계산하며 상황을 관망하는 분위기다. 비통신 사업자들은 통신망을 운영 및 구축한 경험이 없는 데다 이에 투입되는 재원과 인력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에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특화망에 대한 수요가 없는 건 아닌 것 같고 활용 사례를 필요로 하는 것 같다"며 "기업이 따라할 수 있도록 올해는 5G 이음망에서 성공 사례를 많이 발굴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가 5세대(5G) 기술을 적용해 '스마트 항만'을 구축 중인 부산항 현장. 2021.04.29. /뉴스1 © News1 김정현 기자
LG유플러스가 5세대(5G) 기술을 적용해 '스마트 항만'을 구축 중인 부산항 현장. 2021.04.29. /뉴스1 © News1 김정현 기자

◇KT 5G 특화망 전담 조직 신설…정부, 올해 480억원 지원 

이통3사 중에서는 KT가 5G 특화망 사업 참여를 적극 검토 중이다. 지난해 하반기 5G 특화망 TF를 구성한 KT는 올해 초에 특화망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현재는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국책과제에 참여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KT 측은 "상용망의 기업전용 5G 서비스와 함께 특화망 분야에서도 엔드투엔드(E2E)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통3사들은 일단 자체적인 5G 기업간거래(B2B) 사업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현재 이통3사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항만, 스마트병원, 모빌리티 등 다양한 5G 기반 B2B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업자가 특화망 사업을 신청할 경우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통사와 함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그러나 이통사들은 특화망 사업에 참여할 유인이 없다는 판단이다. 이에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팩토리는 5G 상용망으로도 충분히 할 수 있는데 어떻게 보면 통신사 입장에서는 (특화망이) 경쟁관계에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가운데 정부는 특화망 사업 몸집 키우기에 본격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480억원을 투입해 총 11개의 5G 특화망 서비스를 본격 지원할 방침이다. 공공의료, 물류, 안전, 항공 등 공공부문 7개 분야에 400억원을, 제조·의료·문화·교육 등 민간부문에 80억을 지원한다.

이국화 과기정통부 ICT디바이스전략팀장은 "올해 11개 모델을 추진할 계획인데 향후 5G 특화망의 대대적인 확산이 목표"라며 "성과를 내면 특화망이 확산되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g1@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