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韓 항공시장 탐내는 中 저비용항공사…운수권 배분 임박

국내 취항 중국 항공사만 16개…치열한 경쟁 예고
국내 저비용항공사 "경쟁력 충분해…걱정할 수준 아냐"

(서울=뉴스1) 김상훈 기자 | 2019-05-23 06:30 송고 | 2019-05-23 09:34 최종수정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의 국내선 계류장에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Low Cost Carrier) 여객기들이 운항을 준비하고 있다. 2016.7.1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의 국내선 계류장에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Low Cost Carrier) 여객기들이 운항을 준비하고 있다. 2016.7.1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항공업계 최대 관심사였던 중국 운수권 배분이 이달 초 끝난 가운데 중국에서도 곧 한국을 오가는 중국 항공사 선정에 나선다. 중국쪽의 운수권 배분이 마무리 되면 중국 항공사의 한국 운항 횟수는 주간으로 60회나 늘어난다. 두 나라의 하늘길이 활짝 열리면서 이용 고객을 차지하기 위한 한중 항공사의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23일 항공업계 및 외신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르면 이달 중 자국 항공사들을 대상으로 한국 노선 운수권 배분에 나설 계획이다. 이미 6개 항공사가 운수권 배분 신청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국은 이달초 국내 항공사들에 중국 노선 운수권 배분 작업을 완료했다. 지난 2일 국토교통부는 항공교통심의위원회를 열고 국적 항공사에 중국행 34개 노선을 배분했다. 항공사별로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이 각각 주 35회를 확보했으며, 이스타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이 각각 27회, 18회, 3회를 확보했다.

이는 지난 3월 열린 한·중 항공회담 결과에 따른 것으로 당시 양국은 여객 운수권을 주60회(주548회→주608회) 증대하는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중국 항공사들도 기존보다 주60회 한국으로 추가 운항이 가능해졌다.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현재 국내 취항 중인 중국 항공사는 중국국제항공,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등 총 16개에 달한다. 중국 당국의 운수권 배분 결과에 따라 국내 취항하는 중국 항공사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을 오가는 중국 항공사들이 늘어남에 따라 향후 국내 항공사와 중국 항공사간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저비용항공사(LCC) 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중국은 국내선의 포화로 일본, 동남아 등 주변국으로 국제선 노선을 활발히 확장하고 있다"며 "운수권이 늘어난 만큼 양국 항공사간 경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업계에서는 국내 항공사들이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중국 항공사들과의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져 도리어 국내 항공사들이 신규 수요 창출 기회를 뺏길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의 보조금 등 지원을 받고 있는 중국 항공사들이 저가 항공권을 판매하면 국내 고객 상당수를 빼앗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중국 항공사들은 대부분 A321 등 소형기를 보유하고 있어 운항거리가 짧은 한국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중국 4대 항공사(중국국제·남방·동방·해남)의 항공기 보유 대수는 총 2217대로 이 중 소형기는 1855대로 전체의 약 83.6%를 차지한다.

LCC 업계는 중국발 물량 공세 우려를 인정하면서도 국내 여객수요를 충분히 잡을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그간 축적해온 서비스 수준과 브랜드 이미지로 경쟁력을 갖췄고, 향후 항공권 가격 하락으로 소비자 편익이 증대될 것이라는 관측 때문이다.

일각에선 중국 항공사의 물량 공세 외에도 일부 인기 노선을 제하고는 새롭게 재편된 중국 노선에서 수익을 얻기 힘들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업계는 국내 지방 출발 노선에 대해서는 수요예측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방발 옌지, 장자제의 경우 인기 지역이다보니 수요가 어느 정도 받쳐줄 것"이라며 "하지만 오히려 지방 출발 상하이, 베이징 등 노선은 출장 등 비즈니스 수요가 적고, 현지 인바운드 수요 확보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award@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