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박원순 "서울의료원에 난임센터 만든다"

난임 정책 시민토론회…보건소 난임주사 시술도 추진

(서울=뉴스1) 이헌일 기자 | 2019-03-26 20:54 송고
박원순 서울시장이 6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우리키움 참여단 출범식'에서 각종 돌봄 서비스 및 인프라 확충 등 내용을 담은 '서울시 온마을 돌봄체계 구축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2019.3.6/뉴스1
박원순 서울시장이 6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우리키움 참여단 출범식'에서 각종 돌봄 서비스 및 인프라 확충 등 내용을 담은 '서울시 온마을 돌봄체계 구축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2019.3.6/뉴스1

박원순 서울시장이 난임으로 고통받는 시민들의 호소에 "서울의료원에 난임센터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했다.

서울시는 26일 오후 7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랑의 열매 회관에서 '보건소에서 난임 주사를 맞을 수 있다면'이라는 주제로 민주주의 서울 시민토론회를 열었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정선혜 서울혁신기획관을 비롯해 난임 부부 및 관심있는 시민 130여명이 참석했다.
박 시장은 "(난임과 관련해)생생한 의견을 들으면서 문제를 꼭 해결해야겠다고 결심했다"며 "난임 문제를 두고 시립병원이 있는 서울시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의료원에 제대로 된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제대로 시설을 갖춘 난임센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확보한 병원이 시중에 많지 않아 (치료)가격이 올라간 것 같다"며 "서울의료원에 제대로 센터를 만들어서 가격도 낮추고,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박 시장은 "보건소에서 난임 주사를 맞을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며 "서울시의사회와 협력해 시내 병원 어디서나 쉽게 난임 주사를 맞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그는 "난임 치료 지원의 횟수 제한, 나이 제한 등에 대해 보건복지부도 고민하고 준비하고 있다"며 "이런 부분은 지방정부보다는 중앙정부에서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지만 복지부 정책이 충분치 않다면 서울시에서라도 반드시 하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난임 지원 정책 개선을 주제로 발제한 시민 2명에게 "두분을 임기제 혹은 시간선택제 공무원으로 채용해 정책을 만들어가겠다"며 "당사자가 어려움을 가장 잘 알고, 현실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난임을 경험한 많은 시민들이 특히 비용 부담으로 겪은 고통을 털어놨다. A씨는 "시술료 부담 때문에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사했다. 결혼하자마자 시술을 하다보니 (비용 부담 때문에)전세에서 월세로, 월세에서 보증금을 빼서 경기도 외곽으로 가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문제는 비용이다. 처치 비용은 비급여이기 때문에 5000원에서 많게는 3만원까지 한다. 이 주사를 맞으려면 길게는 한달씩 매일 맞아야 한다. 처치에 진단, 주사 등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고 설명했다.

B씨는 "1년 동안 열심히 벌어도 2번밖에 시술을 못하는 형편이다. 노후 대책도 없고 적금도 부을 수도 없다"고 울먹이며 말했다. 이어 "가족을 만드는게 너무 중요해서 이 일을 계속하고 싶지만 횟수 제한과 나이 제한에 걸려있는 사람을 한시적으로라도 지원해줬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이밖에도 "바라는 건 딱 한가지입니다. 내 아이를 무사히 출산하는 것. 꼭 필요한 주사를 아무 걱정없이 맞을 수 있도록, 꼭 정책 개선해주세요" "난임 부부들이 주사 난민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보건소에서 주사를 맞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등 의견도 나왔다.

시는 '민주주의 서울'에 올라온 '보건소에서 난임관련주사를 맞게 해달라'는 제안을 두고 5000명 이상 시민이 투표에 참여함에 따라 이번 간담회를 마련했다. 이 제안은 지난해 1월19일 민주주의 서울에 올라와 총 5252명의 공감을 얻었고, 25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또 지난해 12월14일부터 올 1월13일까지 한달 간 진행된 온라인 시민투표에 5259명이 참여, 5115명(97%)이 찬성했다.


honey@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