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북미 D-10] 의전· 의제 '투트랙' 2차 실무협상 돌입

北김창선, 베트남 하노이 도착…의전 준비 착수
비건-김혁철 라인 '10여개' 의제 논의 집중

(서울=뉴스1) 문대현 기자 | 2019-02-17 11:48 송고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16일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레전드메트로폴하노이 호텔을 살펴본 후 나서고 있다.  2019.2.16/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김창선 북한 국무위원회 부장이 16일 베트남 하노이의 소피텔레전드메트로폴하노이 호텔을 살펴본 후 나서고 있다.  2019.2.16/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역사적인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불과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양측은 이번주 본격적인 2차 실무협상에 돌입한다.

지난 6~8일 평양에서 진행된 첫 실무협상이 사실상 탐색전에 지나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의제·의전 관련 2차 실무협상의 결과가 한반도 비핵화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집사 격으로 의전 등을 총괄하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은 16일 현지시간으로 오전 11시쯤 베트남 하노이 외곽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김 부장 일행은 공항에서 빠져나와 하노이 시내에 있는 영빈관으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 부장은 지난해 4·27 남북정상회담, 6·12 북미정상회담 등의 의전을 총괄했던 만큼 이번에도 미국 측과 2차 북미정상회담의 의전과 실행계획을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창선 부장을 상대할 미국 측 의전 책임자로는 조 헤이긴 전 백악관 부비서실장의 후임인 대니얼 월시가 유력한 것으로 관측돼 왔는데 월시 실장도 앞선 15일께 하노이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16일에는 미국 실무팀도 하노이 JW메리어트 호텔을 현지 답사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17일부터는 하노이에서 북미 양측이 만나 의전과 실행계획을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비핵화-상응조치'를 둘러싼 의제 협의도 이번주 동시에 진행될 전망이다. 6·12 정상회담 당시 약 2주 전부터 판문점과 싱가포르에서 각각 의제·의전 '투트랙'으로 실무협상이 진행됐던 것과 유사한 구도다.
16일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미국측 실무진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19.2.1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16일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미국측 실무진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19.2.1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대북협상에서 전권을 부여받은 것으로 파악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전례없는 '대미특별대표'라는 직함을 단 국무위원회 소속의 김혁철 대표가 1차 때에 비해 세부 쟁점들을 놓고 보다 밀도 있는 협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비건 대표는 지난 11일(현지시간) 워싱턴 D.C를 방문한 문희상 국회의장과 여야 대표단을 만난 자리에서 최근 북미간 첫 실무협상에 대해 "의제는 동의했지만 협상을 위해선 서로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견을 좁히는 것은 다음 회의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추가 본격적인 담판을 예고한 바 있다.

미국이 '종전선언'에는 전향적 태도를 보이면서도 '제재 완화'에 있어서는 강경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주 하노이 담판에서 '+α', 즉 영변 폐기를 넘어 포괄적 신고·검증을 포함하는 로드맵을 도출하기 위한 치열한 줄다리기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해 9.19 선언에서 미국이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비건 대표는 지난달 말 강연에서 김 위원장의 이 발언을 상기시키면서 영변 핵시설 이외 미신고 의심시설도 이번 협상의 논의 대상으로 포함되길 희망한다는 의향을 드러냈다.

북측은 이에 대한 상응조치로는 불가침 약속, 한미의 군사 태세 및 활동 조정 확약, 종전선언, 점진적 외교 관계 정상화, 선별적 투자 프로그램에 대한 제재 유예 등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비건-김혁철 라인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공동선언문 초안 작성에도 돌입할 전망이다.

그러나 양측이 2차 실무협상에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할 경우 정상회담 직전까지 추가로 협상을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eggod6112@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