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美 "北과 전사자 유해 합동발굴 등 다음 조치 모색"

"미군 파견시 통신·의료 등 조건 충족될 필요"

(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 | 2018-08-15 15:43 송고
켈리 맥키그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 국장 © AFP=뉴스1
켈리 맥키그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 국장 © AFP=뉴스1

미국 정부가 북한 측과 합동으로 한국전쟁(6·25전쟁) 당시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미군 장병 들의 유해 발굴 작업을 벌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백악관에 따르면 켈리 매키그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 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 1일 북한으로부터 전사자 유해함 55개를 받은 데 이어 "북한 인민군과 합동 유해 발굴 재개 및 추가 송환을 위한 논의 등 다음 조치들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과 미국은 지난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정상회담 당시 채택한 공동성명을 통해 미군 전사자 유해 발굴·송환에 합의했다. 미 국방부는 약 7700명에 이르는 한국전 당시 실종·전사 장병 가운데 5300여명의 유해가 북한에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맥키그 국장은 "북한 당국자들이 유해 발굴에 대한 약속도 재차 확인했다"며 다만 유해 합동 발굴을 위해선 "미군 측이 사용할 통신체계나 의료 등의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북한과 미국은 지난 1996~2005년에도 전사자 유해 합동 발굴을 진행한 적이 있다.

맥키그 국장은 "지금은 유해 송환 문제가 북미 군사당국 간 접촉을 통해 다뤄지고 있지만, 이는 인도주의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며 "중국·러시아 등 또한 이를 인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이날 브리핑에 함께한 존 버드 DPAA 감식소장은 이번에 북한으로부터 받은 유해함 55개에 담긴 유해 중에선 "동물 뼈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버드 소장은 "유해함 1개에 꼭 유해 1구가 들어 있을 거라고 기대하진 않는다", "유해 보존상태도 중간보다 다소 열악한 수준"이라고 밝혀 유전자 확인 등을 통한 신원확인 작업에 상당시일이 걸릴 것임을 예고했다.

새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전쟁에서 돌아오지 못한 이들을 가족들 품으로 데려오기 위해 전념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ys4174@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