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김정은·트럼프 때문에…" 금융시스템 위협 1순위로 부상

조사 이후 처음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 요인 부각
가계부채·미 금리인상·보호무역 주의 강화도 리스크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2017-05-24 06:00 송고
22일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지상대지상 중장거리전략탄도탄 '북극성 2형'을 전날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했다고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노동신문) /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22일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지상대지상 중장거리전략탄도탄 '북극성 2형'을 전날 성공적으로 시험 발사했다고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노동신문) /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가 국내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요인 1순위로 부상했다. 한국은행이 2012년 시스템 리스크 설문조사를 시작한 이후 지정학적 리스크가 주 요인으로 떠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계부채, 미 연준의 금리 인상·보유자산 축소 등도 주요 시스템 리스크로 꼽혔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보면 시스템 리스크 1순위로 우리나라 지정학적 리스크를 응답한 비중은 33%로 가장 많았다. 가계부채 문제가 32%로 뒤를 이었고, 미 연준의 금리 인상·보유자산 축소(14%) 응답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 News1
© News1

이번 조사는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금융시장 참가자,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등 총 72명을 대상으로 4월20일부터 지난 10일까지 진행했다.

시스템 리스크 5개 요인에 대한 응답을 받아보니 가계부채 문제가 85%, 지정학적 리스크가 71%를 각각 차지했다. 미 연준의 금리인상·보유자산 축소(63%),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51%)도 주요 리스크였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주요 리스크로 평가된 것은 2012년 설문조사를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한은 관계자는 "조사 시점이 북핵 리스크와 중국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 등 부각될 때여서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가 더 컸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리스크 1순위 요인은 지난해부터 조사하기 시작했다. 
응답자들은 우리나라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 연준의 금리 인상·보유자산 축소는 1년 이내 단기 리스크 요인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은 3년 이내 발생할 수 있는 중·단기 리스크, 가계부채는 중기(1~3년 사이)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로 인식했다.

발생 가능성은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을 가장 높게 전망했고, 가계부채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는 가능성을 중간 정도로 인식했다.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은 가계부채 문제와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0월 조사 당시에는 저성장·저물가 고착화, 중국의 경기둔화도 주요 리스크 요인이었지만 이번 응답에서는 빠졌다.  

향후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40%로 지난해 10월(31%)보다 상승했다. 1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재화할 가능성은 23%에서 13% 떨어졌다. 1~3년 중기 시계에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률은 44%에서 38%로 낮아졌다.


junoo5683@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