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기자의 눈] 과학적 근거없는 '화학포비아' 부추긴 식약처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2016-09-28 13:52 송고 | 2016-09-28 14:46 최종수정
© News1
"CMIT‧MIT 성분이 인체에 무해하다면서 왜 회수하고 조사하는 거죠? 수많은 사망자를 낸 가습기살균제 성분이 무해하다니 분통이 터지네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앞뒤가 맞지 않는 입장을 발표해 뭇매를 맞고 있다. 식약처는 물로 씻어내는 치약 제품 특성상 유해성이 없지만 허가되지 않은 물질이어서 회수했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도 향후 유사 사례가 있는 지 여부를 면밀히 조사하겠다고 했다. 국민들로서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식약처 정책담당자는 논란이 불거질 때마다 "CMIT·MIT 성분이 15ppm 기준치 이하로 함유되면 유해하지 않지만 생활용품 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예방적 차원에서 제한기준을 강화했다"고 두루뭉술하게 설명했다.

식약처는 과학적인 입증보다는 사회적 여론을 의식해 정책 방향을 정하면서 '뒷북 대처'와 '엇박자'를 내고 있다. 국민들의 불신과 불안감은 계속 커지는 중이다. CMIT·MIT는 물에 녹는 보존제 성분 중 상대적으로 독성이 약해 가습기 살균제 사태 이전까지 화장품·세정제 등에 널리 쓰였던 만큼 앞날은 더욱 험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치약 보존제로 CMIT·MIT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은 15ppm 이하로 제한하고 있지만 미국은 이렇다할 기준도 없다. 우리나라 정부는 미국과 유럽 당국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면서도 국민 안전에 무방비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셈이다.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가습기살균제 사태 이후 CMIT·MIT 성분에 대한 경각심이 지나친 측면이 있다. 기체 형태로 폐로 직접 들이마시는 것과 섭취 및 피부에 닿는 것은 결이 다르지만 이런 부분은 무시되고 유해성 부분을 과장해 불필요한 공포심을 조장하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많은 전문가들도 CMIT·MIT 성분에 대한 우려가 실제보다 커지고 있다고 말한다. 또 대체하기 위한 보존제 성분이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화합물을 새롭게 만들면 연구 자료가 축적돼 있지 않고 안전성을 다시 검증해야 해 문제를 발생할 수 있어서다.

과학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과도한 불안감은 또 다른 문제를 부를 수 있다. 정부 기준 113명의 사망자를 낸 가습기살균제가 등장한 맥락을 살펴보면 신종플루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가 유행할 당시 곰팡이와 세균에 대한 과도한 불안감 조장이 있었다.

전 세계에 유례없는 가습기살균제가 우리나라에서만 만들어져 불티 나게 팔린 건 공포심을 조장하는 데에만 앞장선 사람들 때문은 아니었는지 곱씹어 볼 때다.


ideaed@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