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ELW 시장 건전화됐다고? 시장 다 죽었는데 무슨 의미?"

거래소 건전화 주장에 업계 '피식'

(서울=뉴스1) 강현창 기자 | 2015-03-26 11:02 송고
출처 : 한국거래소 © News1
출처 : 한국거래소 © News1

국내 ELW(주식워런트증권)시장에서 초단타매매로 일반 투자자와의 형평성 문제를 일으킨 스캘퍼가 대부분 사라졌다는 한국거래소의 집계가 나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거래량이 크게 줄어 시장에 내려진 사실상의 '사망선고'는 여전히 유효하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2011년 이후 ELW시장에 대해 '건전화 조치'를 실시해온 결과 그 동안 문제로 지적되었던 지수ELW의 지수옵션 대비 할증률이 제거되고 있다는 통계결과를 내놓았다.
당시 금융위원회는 ELW시장의 스캘퍼들의 활동을 차단하기 위해 LP(유동성 공급자)의 호가 범위를 8% 이상으로 제한했다. 이어 같은 해 코스피200지수 옵션의 최소 거래단위를 10만원에서 50만원으로 인상했다.

또 지수ELW상품을 표준화(2011년 7월·만기일은 옵션만기일로, 전환비율은 100으로 일원화)하는 등 ELW시장에 대해 전반적인 규제가 시행됐다.

그 결과 조치 이전에는 지수ELW가 지수옵션대비 약 16% 높게 거래되었지만 최근에는 ELW를 높은 가격에 매도하던 매매행태가 사라졌다.
과거 지수ELW에 대한 할증판매는 금융투자회사가 스캘퍼로부터 입은 손실을 일반투자자에게 전가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던 현상인데, 스캘퍼가 사라지면서 이런 현상도 바로잡혔다는 게 거래소의 설명이다.

ELW시장에 스캘퍼가 사라졌다는 근거는 감소한 시장규모다. 올해 ELW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706억원으로 규제 전인 2010년 1조6372억원과 비교해 1/20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투자자 활동계좌수는 2011년 9898개에서 지난 2월기준 3458개로 1/3토막이 났다.

이에 대해 거래소는 "ELW시장에 건전한 거래관행이 정착되고 있다"고 평가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다르다. 빈대 잡자고 초가삼간을 다 태웠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출처 : 한국거래소 © News1

당국이 ELW시장의 스캘퍼를 규제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1년 있던 전·현직 증권사 사장 기소 사태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는 2011년 6월 ELW시장에서 스캘퍼에 전용선을 제공해 특혜를 줬다는 혐의로 12개 증권사 전·현직 대표이사를 포함한 업계 관계자 30명과 스캘퍼 18명 등 총 48명을 무더기 기소했다.

스캘퍼들이 전용선을 통해 유동성공급자(LP)역할을 하는 증권사가 호가를 제출하면서 생기는 0.01초 단위의 시간차를 이용할 수 있어 부당한 이익을 취했다는 혐의였다.

그러나 법원은 증권사의 손을 들어줬다. 당시 재판부는 "스캘퍼가 이익을 보고 일반투자자들이 손해를 봤다고 해도 각자 LP와의 거래에서 이익과 손해를 본 것일 뿐"이라며 "일반투자자들의 거래 기회를 박탈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판결했다.

재판에서는 무죄를 입증받았지만 당국은 규제를 꺼내들었다. 규제가 실시된 직후부터 ELW시장의 투자자는 급격히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출처 : 한국거래소 © News1

국내 ELW시장을 일궜다는 평가를 받던 맥쿼리증권이나 골드만삭스, 메릴린치, 씨티, 도이치, JP모간 등 외국계 큰손들이 시장에서 손을 뺐다. 한때 세계 파생상품거래 규모 1위였던 한국은 이제 11위(2014년 기준)로 밀려났다.

강력한 규제로 시장의 몰락이 충분히 예상됐지만, 당시 공공기관에 묶여있던 거래소로서는 업계의 아우성에는 귀를 닫고 당국에는 입을 다물 수밖에 없었다.

한 외국계 증권사 관계자는 "기존에 지적받던 문제점이 개선되고 있지만 규제가 풀어질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며 "거래소가 최근 다양한 파생상품을 내놓으며 황금기의 부활을 꿈꾸고 있지만 외국계 큰손들이 이미 한국시장에 대한 매력을 잃었기 때문에 효과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khc@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