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오너부재 CJ, 재계 최초 '전환형 시간근무제' 도입 까닭은?

인사시스템 등 대대적 개선작업 필요해 대부분 꺼려
이미지 개선 작업 나선 CJ만 선제적 도입 검토
재계, 고용창출·불안 '양날의 검' 지적도

(서울=뉴스1) 장도민 기자 | 2015-02-26 12:33 송고

CJ그룹이 재계 최초로 '전환형 시간근무제'를 도입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총수인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부재한 상황에서 대대적인 '혁신' 카드를 꺼냈기 때문인데 이를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CJ그룹은 전환형 시간선택제에 대한 구체적 도입방안을 마련해 이를 준비 중이다. 주요 10개 계열사를 대상으로 우선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제도는 근로자가 '일한만큼 급여를 받는' 권리가 생겨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전환형 시간선택제가 도입이 되더라도 전일제 근무로 전환이 가능하고 보다 유연한 업무환경 조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육아를 병행하는 여직원들에게 유리하다.
반면 근무시간 감소에 따른 임금이 줄어들게되며 인사평가에서 불리한 대우를 받을 수 있다. 시간형 선택제를 적용할 수있는 기업문화가 동반되지 않을 경우 '있으나 마나'한 제도가 된다.

정부가 나서서 각 기업들에게 전환형 시간선택제 적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지만 인사평가시스템 등 동반돼야 할 사항이 많아 대부분이 꺼리고 있는 상태다.

시스템 개선 작업등 번거롭고 적잖은 비용을 감수해야하기 때문인데 아무도 시도하지 않고 있던 이 제도를 CJ그룹이 선제적으로 검토하고 나서게 돼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경력단절여성 직원들을 채용했기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이들의 숫자가 소수에 불과한 만큼 신빙성이 떨어진다.

업계에서 나오고 있는 다양한 추측 중에서는 오너와 관련된 내용도 있다. 현재 CJ그룹은 오너인 이 회장이 구속된 상태로 중요한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는 등 적극적인 이미지 개선에 나선 상태다.

또 기업과 정부 부처 간의 관계개선 활동도 지속적으로 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가 권장하는 근무 환경 조성에 나서면서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해당 제도를 두고 '양날의 검'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유연한 근무환경을 통해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도 있지만  퇴직하지 않고 정규직을 유지할 수 있는 만큼 역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고용확대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지만 반면에 기업 문화가 어떻게 형성될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고용불안을 야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jdm@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