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사우디 '자국민 의무고용제' 강화…건설사 인력난에 공기지연 이중고

인건비 상승으로 원가부담↑…추가손실 발생
업계 "중요한 수주텃밭, 현지인력 양성 등 해결책 모색해야"

(서울=뉴스1) 임해중 기자 | 2015-02-10 07:00 송고
자국민 고용 확대를 꾀하는 사우디제이션 정책을 업그레이드한 故압둘라 사우디 국왕/뉴스1 DB© News1
자국민 고용 확대를 꾀하는 사우디제이션 정책을 업그레이드한 故압둘라 사우디 국왕/뉴스1 DB© News1

사우디아라비아에 진출한 국내 대형 건설업체들이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지 정부가 자국민 우선 고용정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어서다. 외국인 노동자보다 인건비가 2배 가량 비싼 사우디 국적 근로자를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고용해야하고 이직률도 높아 건설업체들이 인력 수급에 애를 먹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사우디 정부는 지난 2012년부터 현장 한 곳을 기준으로 자국민 노동자를 최대 30%까지 의무 고용하도록 강제하는 제도를 운영 중이다.

사우디에 진출한 건설업체들이 인력 수급에 문제를 겪는 이유는 의무 고용제도와 연계해 인력쿼터제도 함께 운영되고 있어서다. 예컨대 사업주가 사우디 국적 근로자 1명을 채용하면 이를 기준으로 단순노동자와 관리직원을 각각 7명, 4명까지 고용할 수 있도록 인력 총량에 한계를 두는 방식이다.

프로젝트별로 인력비율이 다소 다르지만 임금이 비싼 사우디 근로자가 필요하지 않아도 공사 진행을 위해 업체들은 의무 고용제도에 동참할 수밖에 없다.

사우디 국적 근로자들의 이직이 잦다는 점도 건설업체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우디 국적 근로자는 정부 정책으로 일자리를 보장 받고 있어 임금을 조금만 올려주면 다른 현장으로 이직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이 이직하면 관리직은 물론 노동인력 수급에도 문제가 생겨 결국 공기에 차질이 빚어지게 된다.
여기에 사우디 정부가 불법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100만명 이상을 추방조치한 점도 이곳에 진출한 건설업체들이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은 다양한 현장을 경험한 숙련공인데 반해 사우디 국적 근로자들은 건설공사에 투입된 경험이 거의 없는 비숙련자들이 많아서다.

현장에 당장 투입할 수 있는 숙련공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진 건설업체들이 이를 만회하고자 인력 투입을 더 늘리다보니 임금비용도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임금 상승이 원가 부담으로 이어지면서 건설업체들의 실적회복에도 걸림돌이 되는 모습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사우디에서 진행하고 있는 쿠라야 복합민자발전소 사업이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며 공기가 지연될 것으로 우려되자 이에 따른 대손충당금을 1300억원 이상 설정했다.

사우디에 진출한 다른 건설업체도 사정은 비슷하다. GS건설은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사우디 라빅, PP12 현장에서 1200억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해 영업이익을 갉아 먹었다. 대림산업 역시 사우디 합성고무 생산플랜트 등 사업장에서 인건비가 크게 증가하며 지난해 영업이익 손실을 기록했다.

업계는 수주텃밭으로 불리던 사우디에서 인력 수급에 문제를 겪지 않으려면 국내 업체들이 현지인력을 효과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과거 싱가포르 건설시장을 점령했던 홍콩과 일본 건설업체들이 현지 정부의 인력쿼터제 도입 이후 대부분 철수했던 전례를 감안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무엇보다 시장 다변화가 중요하지만 플랜트 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주되는 사우디 시장을 놓칠 수도 없다"면서 "사우디 국적 근로자에 대한 순환근무를 강화해 이를 경력으로 인정해주는 등 근속연수를 더 늘릴 수 있는 방안이 인력수급 문제를 완화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말했다.


haezung2212@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