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 매각 실패… 민영화 장기화 우려

(서울=뉴스1) 송기영 기자, 이훈철 기자 | 2014-11-28 20:18 송고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News1 손형주 기자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News1 손형주 기자


우리은행의 새주인을 찾아자눈 작업이 또다시 실패했다. 28일 진행된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30%) 매각 예비입찰에는 중국계 안방보험사가 단독으로 참여해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았다. 2010년 첫 매각을 시도한 이후 네번째 실패다. 

매각이 실패함에 따라 정부는 우리은행 매각의 새판을 짜야 한다. 정부는 경영권 지분 매각을 재시도할지, 지분을 쪼개 매각해야 할지 갈림길에 섰다. 재매각 시점이 내년을 넘길 경우 정권의 동력이 떨어져 우리은행 민영화가 장기화될 수도 있다. 

◇유력후보 교보…자금조달 실패했나
우리은행의 새주인으로는 교보생명이 유력했었다. 교보생명은 박근혜 정부들어 우리금융 매각 작업이 진행되자 직원들이 금융위를 찾아와 일정을 확인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또 신창재 회장도 우리은행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자주 밝혔었다. 그러나 이날 마감 몇분을 앞두고 최종 입찰 불참을 선언하며 금융권의 궁금증을 샀다.

교보생명은 정확한 불참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 교본는 이날 "지분인수 타당성에 대해 해외공동투자자 및 컨설팅사와 검토하는 과정에서 몇가지 문제점이 제기돼, 인수참여를 유보했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교보생명이 우리은행 인수 의지는 있었으나, 자금 조달 과정에서 벽에 부딪혔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교보가 밝힌 '몇가지 문제점'이 바로 자금조달의 문제라는 것이다.

우리은행을 인수하기 위해선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3조원 가량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교보생명은 보험업법상 직접 조달할 수 있는 자금이 '자산의 3% 이내(1조3,000억원가량)'로 제한된다. 2조원 가량은 재무적투자자(FI)를 통해 조달해야 하는데, 끝내 자금 조달을 못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을 개인 대주주가 있는 교보생명에 넘기는 것에 대해 금융당국이 문제를 제기했다는 분석도 있다. 교보생명은 신창재 회장이 지분 34%를 갖고 있다. 국내 정서상 은행을 개인이 소유하는데 대한 거부감이 있다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교보생명 입장에서는 우리은행을 인수하기 위해 충분한 자금 동원력을 금융당국에 확인시켜줬어야 했을 것"이라며 "이런 부담감이 결국 우리은행 입찰에 불참하게 된 계기로 보인다"고 말했다.

◇각종 추측 난무했던 中 안방보험 입찰 참여
이날 예비입찰에는 중국의 안방보험이 단독 참여했다. 안방보험은 그동안 우리은행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각종 추측을 사기도 했다.

초반 안방보험이 후보군으로 거론될 때 금융당국은 2005년 설립된 신생 보험사라는 이유로 인수 가능성을 낮게 봤다. 그러다 지난달 미국 뉴욕 맨해튼 월도프 아스토리아호텔을 약 20억달러에 사들이면서 막대한 자금력을 과시했다.

또 우샤오후이 안방보험 회장이 덩샤오핑의 맏딸 덩난의 사위로 알려지면서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하지만 안방보험이 중국계 금융사라는 점에서 우리은행을 인수할 가능성은 낮다는게 금융권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교보생명이 입찰에 참여해 유효경쟁이 성립됐을 경우 자금 동원력이 좋은 안방보험이 우리은행을 인수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안방보험은 우리은행 인수에 실패하더라도 이번 매각을 통해 국내에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매각 실패… 향우 일정은
금융당국은 경영권 지분 매각이 실패함에 따라 당장 우리은행 매각에 대한 새판을 짜야 한다. 금융위원회는 경영권 지분 매각이 실패함에 따라 다음달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고 대책 방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우리은행 매각 의지에는 변함이 없지만 당장 내년에 경영권 지분 매각에 재착수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향후 일정은 공자위 회의를 열어 논의를 해봐야 알 것 같다"며 "다만 당장 경영권 지분 매각을 다시 진행하긴 상황이 여의치 않다"고 했다.

금융권에서는 경영권 지분 30%를 쪼개서 매각하는 방안도 나온다. 경영권 지분 매각과 함께 진행된 소수지분 매각은 흥행에 성공하면서 이같은 방안에 힘이 실린다.

현재 국내 경제 사정상 3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동원할 금융사가 그리 많지 않다. 당초 3조원에 달하는 경영권 지분을 매각할 주체가 없는데 정부가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KB금융지주나 신한금융지주가 우리은행을 인수해 '메가뱅크'를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매각 시점이 내년을 넘기면 박근혜 정부의 우리은행 매각 동력도 상당히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2016년 4월에는 총선이 2017년 12월에는 대통령 선거가 예정됐다. 선거철이 도래하면 우리은행 매각과 같은 빅딜은 동력이 떨어지는게 마련이다.

정부 추진 동력의 중요성은 앞선 세번의 매각에서 그대로 드러났다. 이명박 정부는 우리금융지주 민영화를 추진하면서 1차를 제외하고 모두 일괄 매각을 추진했었다. 1차 매각도 경남·광주은행 등 지방은행만 제외하고 나머지는 일괄로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2010년 1차 매각은 최종 무산되긴 했지만 예비입찰에 총 11곳이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다. 당시는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지 만 2년이 되던 시점이었다. 

2011년 2차 매각 때도 예비입찰 참가의향서를 제출한 곳은 3곳, 최종 예비입찰에는 1곳이 참여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말기였던 2012년 3차 매각에는 참여한 곳이 1곳도 없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은행과 같은 빅딜은 정권이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 수 있을 때 시도해야 금융사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며 "정권 후반기로 넘어가면 우리은행 매각은 다음 정권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rckye@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