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기준금리, 사상최저점 찍을까…10월 금리인하 전망 '우세'

(서울=뉴스1) 이현아 기자 | 2014-10-12 17:22 송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시작을 알리는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14.9.12/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시작을 알리는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14.9.12/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한국은행이 오는 15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이달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의 무게중심은 금리 인하에 쏠렸다. 정부의 경기부양 의지가 강한 가운데 한은이 저성장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분석 때문이다.

한은은 지난 8월 15개월 만에 2.50%에서 2.25%로 기준금리를 낮춘 후 9월에는 금리를 동결했다. 만약 10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인하할 경우 기준금리는 2.00%로 사상 최저치로 떨어진다. 한은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금리를 2.00%로 떨어뜨린 바 있다.

시장 참여자들이 10월 금통위에서 금리를 내릴 것으로 전망한 데에는 지난 9월 한은 금통위원들의 발언이 큰 영향을 줬다. 지난달 30일 발표된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금통위원들은 경기 하방리스크를 언급했다. 정해방 금통위원은 지난 9월 금통위 정례회의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소수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의사록에 따르면 정 의원은 "선제적인 정책대응을 위해서는 연속적인 금리인하가 더욱 효과적"이라며 추가인하를 주장했다. 정 위원은 "2분기 GDP성장률이 0.5%로 7월 전망에 비해 성장경로가 다소 하방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며 "10월 전망시에는 금년도 성장률이 다소 하향조정될 것으로 보이고 내년 성장률도 당초 전망을 유지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이요인이 없다면 저물가 상황이 더욱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가계부채에 대해서 여러 가지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나 현실화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현시점은 경기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심리회복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 외에도 경기 하방 위험 및 저물가 장기화를 우려하는 금통위원의 의견이 제기돼 연내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었다.

권한욱 교보증권 연구위원은 "9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동결 결정에도 불구, 다각적인 경기 하방 위험에 대한 논의와 유연한 통화정책 대응의 필요성 등이 언급됐다"며 "일부 금통위원들은 4분기 중 정책금리 추가 인하를 보다 강력하게 지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경기 지표 역시 미약한 개선세를 나타내, 금리 인하 주장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이 발표한 경제심리지수(ESI)는 9월 97포인트로 전월 94포인트에서 소폭 반등했으나 순환변동치는 4개월 연속 같은 수준(96포인트)에 머물렀다. 또 소비자심리지수(CSI)에서 경기전망CSI는 8월 100포인트에서 9월 97포인트 수준으로 기준선(100)을 하회했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최근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 따르면 8월 광공업 생산과 설비투자 역시 하계휴가와 자동차 업계의 파업 등의 영향을 받아 3개월 만에 감소세(-3.8%)로 전환했다. 설비투자도 항공기 도입 감소 등으로 -10.6%를 기록, 큰 폭으로 둔화됐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은에서 제시한 물가안정목표 범위에 못 미치고 있는 것도 10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더할 것으로 보인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기 대비 1.1%로 한은의 물가 목표치(2.5~3.5%)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한은은 같은날 발표하는 '수정경제전망' 발표에서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하향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 7월 수정경제전망에서도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2.1%에서 1.9%로 낮춘 바 있다.

김유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경상수지 흑자기조가 이어지고 원자재 가격의 하향 안정화가 이어진다면 저물가 역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4분기 물가 역시 1% 초중반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는 가능하다"고 밝혔다.

반면 10월 기준금리 동결을 전망하는 의견도 있다. 정부에서는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정책을 압박하고 있으나, 정부와 한은의 입장 차이가 존재하는 가운데 한은의 노선이 이전보다 강경해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와 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해 통화정책만으로는 경제 활성화가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또 금리 인하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덧붙였다.

이 총재는 9일(현지시각) 워싱턴 특파원단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수출이 성장을 주도하고 내수가 부진하면 고용유발 같은 효과가 작고 체감경기와도 직결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통화정책만으로는 경제 활성화가 쉽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고 밝혔다.

또 1000조원을 웃도는 우리나라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소비를 제약하는 수준에 가까이 가고 있다는 게 일반적 분석"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융위기 이후 다른 나라에서는 가계부채가 억제됐는데 우리나라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소득 증가율을 웃돌고 있어 관리를 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가계부채도 금리만으로 대처할 수 없고 다른 미시적 대책들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세월호 사태로 8월 금리를 인하하고 나서 개인 소비 심리는 다소 개선됐지만 기업 투자 심리는 나아지지 않았다"며 "금리 인하 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난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재승 KB투자증권 채권분석팀장은 "일부에서 엔저 현상을 막기 위해 인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미 원달러 환율이 1060원대까지 급상승했다는 점에서 추가 인하는 부담이 될 것"이라며 "향후 미국 출구전략이 본격화할 경우 급격한 원화가치의 하락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통화정책보다는 오히려 미시적인 수출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팀장은 "10월 FOMC에서 미국의 테이퍼링 종료가 예정돼 있는 만큼 한은이 경기부양에만 올인하기 위한 선제적인 정책대응 보다는 대외변수의 흐름을 지켜본 후 추가적인 통화정책 확대가 필요할 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yuna@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